
적조 방제 현장 [사진제공 = 여수시]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정부가 적조 현장에 새로운 구제물질을 투입하고 적조 대비 모의훈련을 확대하는 등 적조 피해를 막기 위한 대응을 강화한다.
해양수산부는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76회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5년 적조 대응평가 및 보완대책'을 논의·확정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구 온난화 등 기후변화로 적조의 지속적 발생이 예상됨에 따라 적조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고밀도 적조가 광범위하게 분포했지만 예보·예찰 강화, 초기 집중 방제 등으로 2013년(247억원), 2014년(74억원)보다 피해규모는 줄었다.
어업인들이 양식어류 사전방류와 양식장 이동 등 피해최소화 대책에 적극적으로 동참한 점도 피해규모 감소에 한몫했다고 정부는 분석했다.
다만 전남 해역은 해황 여건 악화로 적조가 많이 퍼지면서 피해액이 2014년 1억원에서 지난해 29억원으로 급증해 방제역량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적조 보완대책으로 민간에서 개발해 효과가 입증된 신규 적조 구제물질 4종(미생물추출물·황토혼합물·도석(陶石)혼합물·머드혼합물)을 올해 적조가 발생한 현장에 우선 적용할 계획이다.
또 적조 관련 연구개발(R&D) 성과를 높이고자 해수부와 미래부 등이 정보를 공유하고 연구 결과 활용을 강화하기로 했다.
지난해 경남지역에서 적조 피해 최소화에 도움을 준 적조 대응 모의훈련을 전남과 경북 지역 등으로 확대 시행한다.
아울러 피해 어업인을 합리적으로 지원하고자 피해 복구 지원비용에서 시장 가격과 지원 기준 간 차이가 있는 품목에 시장 가격을 반영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