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자본시장연구원의 '2015년 기업 신용등급 강등 현상 및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나이스신용평가의 지난해 국내 기업 신용등급 상하향 배율은 0.16배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신용등급 상하향 배율은 등급 상향조정 기업 수를 하향조정 기업 수로 나눈 값으로, 0에 가까울수록 신용등급의 상향보다는 하향 조정이 상대적으로 더 많았다는 뜻이다.
나이스신용평가의 신용등급 상하향 배율은 2011년에는 3.87배였으나 2012년 1.35배, 2013년 0.90배, 2014년 0.45배 등으로 하락했다.
한국기업평가의 상하향 배율 역시 2012년 1.1배 이후 매년 떨어져 2013년 0.5배, 2014년 0.3배, 지난해 0.2배 등으로 하락했다.
지난해 신용등급이 변하지는 않았지만 신용등급 전망이 하향 조정된 기업 역시 전망 상향 조정 기업보다 많았다.
나이스신용평가의 경우 지난해 신용등급 전망 하향 기업은 18개로, 상향 기업 11개를 웃돌았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장은 "지난해 신용등급의 잇따른 강등은 그동안 존재해온 신용등급 평가의 '인플레이션'이 정상화된 측면도 있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