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제공 = 무역협회]
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일본에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들이 올해 대(對)일 비즈니스 환경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20일 한국무역협회 도쿄지부가 주일한국기업 69개사를 대상으로 '2016년 영업환경'을 조사한 결과 응답업체의 38.2%가 대일비즈니스 환경이 '전년보다 개선될 것'으로 답했다. 이는 작년 조사결과인 15.5%에서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대일 비즈니스 환경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짐에 따라 올해 사업을 확대하겠다는 응답도 47.1%에 달했다.
2016년 비즈니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분야를 묻는 질문에는 34.2%가 '한일관계'를 지목했다. 지난 2년간 조사에서 가장 많은 응답률을 기록한 '엔저'는 32.8%로 2위로 밀렸으며, 일본제품의 가격경쟁력 상승(17.6%), 일본경기회복(13.4%) 등이 답변이 그 뒤를 이었다.
기업의 채산성 확보를 위한 최소한의 환율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77.7%(49개사)가 100엔당 '1050~1000원'으로 응답했다. 다시 말해 100엔당 최소 1000원 이상의 환율수준이 유지돼야 채산성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많은 기업들이 현지고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일본의 경기활성화로 스펙을 갖춘 전문인력을 구하기 어려워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밖에 관급공사와 관련 건자재 등의 납품 진입 장벽(비관세 장벽)의 존재에 대해 어려움을 호소하는 기업도 있었다.
한국무역협회 도쿄지부 김정철 부장은 "한일관계 개선 조짐과 일본 경기회복에 힘입어 대일 비즈니스 기반이 마련되고 있어, 이를 적극 활용한 대일수출 확대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이와 함께 일본의 인력난을 활용하여 한국의 청년인력을 일본에 취업시키는 노력을 전개하는 한편 금융정책당국은 원·엔 환율이 수출채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인 1000엔 이상이 유지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