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욕장 이용객 1억명 시대 눈 앞…해양관광 '환골탈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1-31 23:5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제공 = 해양수산부]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해양수산부가 해양관광의 '환골탈태'를 선언했다.

단순히 바다를 방문해 물놀이'를 즐기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역사문화·자연관광 등다양한 콘텐츠와 함께 참여형·스포츠형 등 이색적 체험을 가미하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해수욕장 이용객은 연간 1억명에 육박할 만큼 국민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있는 대표적 쉼터이자 즐거운 놀이터로 자리잡고 있다.

지난해 해수욕장을 찾은 국민은 9855만명에 달했다. 지난 2011년 7522만명에 비교해볼 때 불과 4년 만에 30% 이상 급증했다.

해양관광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수요가 이렇듯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바다 즐길거리에 대한 다양한 콘텐츠의 필요성이 커지게 됐다.

이에 해수부는 △ 어촌관광 △ 해양레저체험 △ 해양문화탐방 등을 즐길 수 있도록 해양관광 활성화 정책에 힘을 쏟을 방침이다.

우선 해수부는 총 112개에 달하는 어촌체험마을에 볼거리, 먹거리에 더해 생활 속 이야기도 함께 제공하는 정겨운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갯벌·낚시 체험, 먹거리 체험, 공예 체험 등 제공 프로그램을 다각화하고 시설물을 현대화하는 등의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또한 등급제를 확대해 체험, 숙박, 음식, 경관·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통해 다양한 관광 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한다.

해양레저체험 활성화에도 박차를 가한다.

현재 해양레저스포츠 분야는 동호회 등 마니아층은 적지 않지만 아직까지 '비싸다', '위험하다'는 막연한 심리적 장벽이 존재, 해양레저 스포츠의 생활화·대중화에 걸림돌로 작용했다.

해수부는 서민층이 요트, 카누, 카약 등 해양레저스포츠에 쉽게 입문할 수 있도록 해양레저 스포츠 교육 거점을 지난해 60개에서 올해 65개로 늘리고 내륙지역의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을 확대(5개→12개)해 해양레저 스포츠의 저변을 넓힐 계획이다.

아울러 수상레저기구 조종교육 뿐만 아니라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과 연계해 생존수영 시범교육을 함께 실시, 안전하고 즐거운 해양레저 체험 기회를 100만명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해양문화자원의 보고인 국립해양박물관과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등을 적극 활용, 해양문화관광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청소년 해양교육 거점 역할도 강화한다.

올해로 개관 4년 차를 맞는 국립해양박물관은 기획전시, 특화 프로그램 개설 등을 통해 70만명의 방문객을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지난 해 4월 개장한 해양생물자원관은 7000여점이 넘는 해양생물표본과 로봇물고기, 미디어월, 증강현실체험 등 다양한 전시·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수산과학관, 국립해양조사원 등 해양수산기관과 협력해 청소년 대상으로 진로체험형, 지식습득형 등 현장중심의 다양한 해양교육 프로그램도 마련할 예정이다.

권영상 해수부 해양레저과장은 "국민소득 수준이나 여타 여가활동을 고려할 때 바다 즐길 거리에도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큰 만큼 해양관광의 다양화·대중화를 위해 정책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