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양성모·이재영·이소현 기자 = 중국 정부의 환경규제 강화로, 수도인 베이징(北京‧북경) 도심내 입주한 공장이 줄줄이 퇴출되며 현대자동차그룹의 베이징 공장도 쫓겨날 위기에 처했다.
24일 중국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베이징 1공장은 내년 계약만료로 이전해야 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 정부는 현재 환경보호라는 이유로, 도심 인근에 입주한 공장을 외곽이나 인근의 다른 성(省)으로 이전하는 작업을 추진 중이다.
특히 베이징시는 ‘수도로서의 역할에 부합하지 않는 업종 조정 및 생산설비 퇴출’이라는 이름하에 기업 이전을 독려하고 있다. 또 공해문제로 베이징내 입주하려는 제조업 공장은 승인이 안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 중 베이징에 현지 공장이 있는 현대차의 공장 이전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중국 현지 업계 관계자는 “유해물질이 기준을 초과하는 자동차용 도료와 주물소재 등도 환경오염의 위험요소로 꼽혀 자동차공장도 이전 대상에 해당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현대차의 중국 현지 합자법인인 베이징현대의 제 1공장의 부지 사용계약은 내년에 만료된다”며 “베이징 대기오염이 심각해 현대차는 공장을 이전해야 할 리스크를 안고 있다”고 말했다.
또다른 현지 관계자도 “연경맥주라는 로컬기업도 계약기간이 끝나 베이징을 나가게 됐다”며 “현대차 1공장도 계약기간이 만료되면 다른 지역으로 이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측에서는 현대차 베이징 공장이 대기오염물질 방지장치 오작동과 이송배관의 균열, 폐유 유출 등 위험성이 있다는 쪽으로 결론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우리나라 정부가 지난 2014년 현대기아차 화성공장과 아산공장의 이 같은 위반 내용을 적발한 바 있다.
중국 현지 관계자는 “중앙정부쪽에서 현대차의 도장공장 특히 자동차 스프레이 부스에서 환경오염 문제가 있다고 파악하고 있다”며 “계속 이전하라는 시그널을 보내며 소문을 흘리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현대차측은 베이징 현대차공장이 ‘저탄소 녹색공장’이어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소음 및 미세 분진 저감, 수용성 도료, 에너지 절감, 오폐수 처리로 작업환경까지 고려하는 친환경 공정을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베이징 1공장이 중국내 대표적 생산지인데, 지금 시점에서 이전하면 비용이 만만치 않다”며 “부지 사용권 계약기간은 대외비로 외부에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현대차의 베이징공장은 최초의 해외 합작공장으로 지난 2002년 완공됐다. 베이징내 총 3개 공장을 운영 중이며 공장 근무인원은 1만5000여명, 공장면적만 축구장 434배에 달하는 327만㎡다. 1‧2공장은 연산 30만대, 3공장은 40만대 규모로 현대차 해외공장 중 최대규모이며 연간 100만대 이상 생산이 가능하다.
중국 현지 관계자는 “외곽에 있는 2공장과 부지 사용계약 기간이 오래 남은 3공장은 적용 대상이 아니고, 1공장이 문제”라며 “당초 4공장을 충칭(重慶)에 짓고자 했으나 5공장으로 미루고, 우선 4공장을 시진핑 정부의 징진지(京津冀) 정책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허베이(河北)성 창저우(滄州)시에 설립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