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는 최근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를 인천시 사회적경제의 도약을 위한 새로운 기회로 보고, 도시재생형 사회적경제기업의 육성을 위한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인천시 도시재생사업 수요와 분야별 사회적경제기업의 기능과 역할을 검토한 결과, 재생사업의 수요는 생활정비형에서 지역복지형을 포함하는 공동체사업 분야에서 증가하고 있는 반면, 사회적경제기업은 일자리 창출과 경제적 측면에 과도하게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재생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업 목표별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지닌 사회적경제기업을 육성함으로써, 지역의 과제와 연계된 지역주체로서 사회적경제기업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인천광역시의 다양한 재생수요를 충족시키고 지역공동체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지역주체로서 사회적경제기업의 가능성을 재확인하였으며, 향후 정책적 지원을 위한 방향과 과제를 도출하였다.
향후 정책과제로는 ①도시재생 분야별 사회적경제기업 육성 방안, ②사회적경제기업의 지속적인 육성을 위한 지역의 자산관리 방안, ③장기적으로 도시재생과 사회적경제 통합거버넌스 체계 도입 등을 제안하였다.
도시재생 분야별 사회적경제기업 육성 방안으로는 기초자치단체별 특화재생수요와 연계된 사회적경제기업 육성, 주민공모사업을 통한 사회적경제기업의 재생 관련 비즈니스 모델 개발, 도시재생 관련 복합앵커조직의 발굴을 제안하였다.
도시재생형 사회적경제기업의 지속적인 육성을 위한 자산관리 방안으로는 도시재생 및 사회적경제 관련 지역자산 DB 구축・관리, 도시재생과 사회적경제 관련 융합 콘텐츠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도시재생형 사회적경제기업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시재생과 사회적경제를 통합하는 새로운 지역차원의 거버넌스 구조에 대한 논의도 장기과제로서 제안하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