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응급환자 공공이송 서비스'는 뇌졸중, 심근경색 등 중증응급환자가 치료를 위해 다른 병원으로 이송될 때 특수 구급차에서 의료진의 집중 치료를 받으며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서울시가 지난해 공공기관 최초로 도입했고 올 3월까지 100여 명이 넘는 중증응급환자가 안전하게 이송되며, 이용률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한국보건사업진흥원의 응급의료체계운영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이송 중 부적절한 처치가 이뤄졌거나 구급차 동승인력이 없는 경우, 적정한 자격을 갖춘 응급의료인력이 동승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올해 서비스 운영병원으로 공모를 통해 서울대학교병원이 선정됐다. 이에 따라 환자 이송을 요청하는 병원이 서울대학교병원의 중증응급환자이송팀에 의뢰하면 대기 중인 구급차와 의료진이 15개 자치구 어느 병원이든 24시간 출동한다.
김창보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중중환자의 안전한 이송으로 생존율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참여 병원을 확대하는 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