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황창규 KT 회장이 유엔과 글로벌 통신사업자들에게 해외로밍 정보를 토대로 구축된 빅데이터를 활용한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공동 협력을 제안했다.
이를 위해 황 회장은 KT가 확보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HPAI)와 구제역(FMD) 확산 방지 관련 빅데이터 알고리즘을 공개하고, 유엔을 통해 개발도상국가에 확산방지 시스템을 지원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황 회장은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메리어트 마르퀴스 호텔에서 열린 유엔 글로벌 콤팩트(UNGC) 리더스 서밋 2016에서 유엔 관계자들과 글로벌 비즈니스 리더들에게 ‘한계가 없는 세상을 열자(Pioneering a Limitless World)’를 주제로 연설했다.
이 자리에서 황 회장은 유엔의 17개 지속가능발전목표를 해결하기 위해 전 세계 통신사업자들이 새로운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 회장은 KT가 빅데이터 솔루션을 활용해 조류 인플루엔자(AI) 확산 방지에 기여한 사례를 공유하면서 "정부와 협력해 AI 확산경로를 빅데이터로 확인한 결과 가축수송, 사료운반 차량의 이동경로와 상당 부분 일치한다는 결과를 얻었다"며 "이를 통해 연간 18억 달러의 손실을 막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은 AI뿐 아니라 사스, 메르스, 지카, 에볼라와 같은 감염병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는 "전 세계 통신사업자들의 노력에 의해 감염병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며 전 세계 73억대에 이르는 휴대폰에서 발생하는 위치정보, 로밍 데이터 등의 빅데이터을 근거로 제시했다.
황 회장은 유엔과 글로벌 통신사들에게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빅데이터 공동과제를 제안하면서 "유엔 주도로 전 세계 통신사들이 힘을 합친다면 인류의 행복과 생명을 위협하는 감염병의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다"며 "이를 위해 KT는 보유한 ICT 인프라 역량과 빅데이터 관련 기술 및 노하우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는 프로젝트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3단계 협력이 필요하다"면서 "전 세계 800여개 통신사업자들은 로밍 데이터를 공유하고, 국경을 초월한 통신사업자들의 로밍 데이터를 공유할 수있도록 정부가 지원하고, 유엔이 각국 정부와 글로벌 통신사업자들을 총괄하는 역할을 맡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이유는 로밍 데이터가 개인정보이기 때문이다.
현재 KT는 미래창조과학부, 질병관리본부와 함께 ‘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한 감염병 차단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이 시스템은 해외에서 유행하는 감염병의 국내 유입 최소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기존 검역시스템은 여행자가 국내로 들어올 때 최종 출발한 국가만 확인할 수 있는 것에 비해 새로운 시스템은 여행자가 방문한 모든 국가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귀국자로 인한 해외 유행 감염병의 국내 유입을 줄이는 데 상당 부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KT는 농림축산식품부 검역본부와 협력해 AI뿐 아니라 구제역 확산 방지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KT는 AI 및 구제역 확산 방지 관련 빅데이터 알고리즘을 유엔과 함께 오픈소스처럼 공개하기로 했다. 빅데이터 알고리즘 공개는 물론 이를 필요로 하는 국가 및 기관에 관련 노하우까지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KT는 개발도상국에 AI, 구제역 확산 방지 시스템도 지원한다. 통신망을 기반으로 동물 감염병 확산 방지 정보획득 시스템을 해당 국가의 상황에 맞춰 제공하는 방식이다. 유엔과 공동으로 국가별 확산 양상을 분석하고, 이에 걸맞은 방역체계를 구성하도록 돕는다.
뿐만 아니라, KT는 공항 방역절차의 표준 제정을 위해 유엔 산하기구인 세계보건기구(WHO)와 협력도 검토 중이다. 이와 함께 현재 국내에서 개발 중인 시스템과 ICT 노하우를 바탕으로 각국의 상황에 맞춰 활용한 수 있는 방안과 프로세스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글로벌 통신사업자들의 빅데이터 협력을 통해 감염병 확산이 차단된다면 경제효과 또한 적지 않을 전망이다.
‘미래를 위한 세계 건강위협 프레임워크위원회(GHRF)’는 올해 초 발간한 보고서에서 발생 가능한 감염병 때문에 전 세계에서 연 평균 600억 달러 이상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했다.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열기에도 찬물을 끼얹은 지카 바이러스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최소 수십 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