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7/04/20160704115307494410.jpg)
[사진=경기도 제공]
아주경제 김문기 기자 =취임 2주년을 맞은 남경필 경기지사가 민선 6기 후반기 도정 목표로 일자리 창출에 매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남 지사는 4일 도청 제1회의실에서 열린 월례조회를 통해 “취임 초기부터 ‘일자리 넘치는 따뜻하고 행복한 경기도’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고, 그 결과로 지난 2년 동안 약 30만 1천개의 일자리를 만들어냈다.”면서 “남은 2년 동안 70만개 일자리를 달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도는 2014년 7월 1일~2016년 5월 말 취업자 수는 30만 1천 명으로 집계했다며, 이는 전국 71만 2천 명의 42.3%를 차지한 것으로 기록됐다고 밝혔다. 일자리 증가율은 4.9%로 200만 명 이상의 지자체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날 남 지사는 2002년 히딩크 감독의 “I am still hungry!” 발언을 인용하면서 “일자리 30만개는 뛰어난 성과지만 나는 아직도 배가 고프다. 지난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더 좋은 일자리 창출에 매진해 일자리 도지사로 기억되도록 하겠다.”며 의지를 강조했다.
향후 민선 6기 70만개 일자리 창출목표를 달성을 위한 방안으로, 공유적 시장경제를 토대로 △경기도 주식회사 △판교제로시티 △스타트업캠퍼스 등의 정책을 제시했다. 특히 공유적 시장경제를 축구경기에 비유하며 경기도는 골키퍼 역할을 하겠다고 예를 들어 설명했다.
남 지사는 “삼성 현대 등 대기업은 스트라이커이고, 판교 첨단기업과 스타트업은 공격형 미드필더, 전통적 중소기업은 수비형 미드필더, 자영업자는 수비수"라며 "허리가 강해야 강한 팀이 될 수 있는데,공유적 시장경제로 대한민국 미드필더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협동조합모델을 통해 수비를 더욱 탄탄하게 만들겠다.”했다. 이어 “경기도는 후방에서 기업이 자신들의 기량을 맘껏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든든한 수문장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남 지사는 민선 6기 전반기와 성과에 대해 "대한민국의 근본적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전초로, 경기도 리빌딩을 준비했던 시간이었다"며, 주요 성과로 연정과 공유적 시장경제의 도입 등을 꼽았다.
이에 “연정을 통해 도의회와 협치를 이뤄냈고, 결과적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을 없애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었다.”며 “공유적 시장경제를 도입해 경제구조의 변화와 혁신을 이끌어냈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경제실과 공공기관의 북부 이전 단행 △북부 테크노밸리 조성 추진 △슈퍼맨 펀드 △스타트업캠퍼스 △ 판교제로시티 조성 추진 △2층 버스 도입 △메르스 위기 극복을 위한 전국 최초의 신종 감염병 관리 종합대응체계 구축 등을 성과로 들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