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 리우올림픽 여자양궁 단체전 결승에서 우승한 (왼쪽부터)장혜진, 최미선, 기보배가 시상대에서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천하무적. 1988년 서울올림픽부터 2016년 리우올림픽까지 28년 동안 금맥을 이으며 올림픽 단체전 8연패의 위업을 달성한 한국 여자양궁 대표팀에 가장 어울리는 표현이다.
장혜진(29·LH)-기보배(28·광주시청)-최미선(20·광주여대)로 구성된 세계 최강 한국은 8일(한국시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삼보드로무 경기장에서 열린 대회 결승에서 세계랭킹 2위 러시아를 세트점수 5-1(59-49 55-51 51-51)로 누르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여자양궁 단체전은 서울 대회 때 처음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됐다. 지금껏 한 차례도 금메달을 놓치지 않은 한국 여자양궁을 제외하면 그 누구도 금메달을 목에 걸지 못한 ‘금금(禁金)의 영역’인 셈이다.
한국은 이번 대회 본선에서 8강부터 결승까지 단 한 세트도 지지 않는 완벽한 경기력을 선보였다. 일본과 대만을 차례로 넘은 한국 낭자들에게는 ‘타도 한국’을 외쳤던 러시아 역시 적수가 되지 못했다. 장혜진과 최미선, 기보배는 완벽한 팀워크로 실수를 용납하지 않고 러시아를 가볍게 무너뜨렸다.
이틀 연속 남녀 단체전을 모두 석권한 한국은 이제 남녀 개인전 금메달 2개를 남겨두고 있다. 올림픽 사상 최초로 양궁에 걸린 금메달 4개를 모두 휩쓸어 전관왕 신화를 이루겠다는 각오다.
환상적인 팀워크를 선보였던 한국 남녀 양궁 선수들은 이제 동지에서 적으로 만난다. 선의의 경쟁을 통해 세계 최고를 향한 활시위를 당긴다.
여자양궁은 개인전 예선에서 1~3위를 싹쓸이 했다. 최미선이 1위에 올랐고, 그 뒤를 장혜진과 기보배가 차지했다. 본선 4강까지 맞대결을 피할 수 있는 톱시드도 배정 받았다. 현재 페이스라면 금·은·동 쓸어 담을 기세다.
남자양궁도 4강까지 맞대결이 없는 대진 운이 따랐다. 김우진(24·청주시청)이 예선에서 72발 합계 700점을 쏴 세계신기록으로 1위에 올랐고, 구본찬(23·현대제철)과 이승윤(21·코오롱)이 각각 6위와 12위를 기록해 다른 조에 편성됐다. 에이스 김우진에 거는 기대가 크다.
개인전 일정은 9일(한국시간)부터 진행된다. 9, 10일에는 남녀 개인전 64강전과 32강전이 열리고, 11일 여자 개인전, 12일 남자 개인전 금메달의 주인공이 가려진다. 한국은 전관왕 석권과 함께 양궁 역사상 첫 개인전 2연패를 노리는 기보배에게 기대가 쏠린다. 올림픽 2관왕-2연패는 ‘신궁’ 김수녕(45)도 이루지 못한 신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