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내놓은 '2015년도 전국 출산력 조사' 결과를 보면 미혼 남성의 86.3%, 미혼 여성의 87.7%가 결혼 관련 국가정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20~44세 미혼 남성 1096명과 미혼 여성 1287명 등 2383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최우선 결혼정책으론 '청년고용 안정화'라는 응답(남성 32.6%, 여성 28.6%)이 가장 많고, '신혼집 마련 지원'(남성 27.4%, 여성 24.1%)이 그 다음을 차지했다.
미혼 여성의 경우 '결혼으로 인한 직장 내 불이익 제거'(20.3%), '청년실업 해소'(16.5%), '허례허식 혼례문화 개선'(5.6%), '장시간 근로 관행 타파'(4.9%)가 그 뒤를 이었다.
선호하는 결혼 정책은 교육 수준과 취업 여부 등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고졸 이하 계층은 노동시장에서의 고용 안정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은 반면 대학 재학자는 노동시장 진입에 대한 정책 욕구가 상대적으로 컸다.
비취업자는 청년 실업 해소나 고용 안정과 같은 고용 관련 정책을 최우선으로 꼽았고, 취업 중인 사람은 주택이나 문화 관련 정책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보사연은 "비자발적인 만혼화와 비혼의 원인을 제거하려면 청년층의 고용 불안정·주거비 부담 등의 문제 해소와 가족친화적이면서 양성평등적인 직장 문화의 조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