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변 교수는 “그동안 건강한 대한민국 사회를 위해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교정상담, 알콜중독, 분노조절장애, 우울증, 심리상담, 부부상담 등 전문적인 심리상담을 통해 다각도로 노력해 왔다”며 “분노중독 사회에 새로운 삶의 가치와 교정시설 수용자들에게 체계적인 심리상담 교육실천에서 얻은 경험을 토대로 보다 전문적인 심리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건강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지난 6월 창설 10주년을 맞은 서울벤처대학교대학원 사회복지상담학과는 서울IT상담심리연구소를 개소했다. 그 곳에서 변 교수는 교육자이자 목회자, 사회봉사자로 활약해왔다.
그는 대한민국 교육부에서 처음으로 사회복지상담학의 석·박사 과정을 개설한 인물이다. 더불어 실천하는 학자로 한국청소년보호재단과 한국미래복지재단 이사장직을 겸임하며 교도소 재소자를 돕는 교정전문가로도 활동 중이다. 특히 2006년경부터 전국의 53개 교도소를 순회하며 ‘교정기관 국악한마당과 인성교육’을 실시해왔다.
변 교수는 “우리 사회는 불안과 상대적 박탈감, 소외감으로 쉽게 삶을 포기하는 자살공화국이 되어가고 있다”며 “서울IT상담심리연구소 개소를 통해 청소년은 물론 중·장년, 노년층에서 폭넓게 발생할 수 있는 자살과 분노조절장애, 알콜중독, 우울증, 심리상담, 가족상담 등 실생활에 필요한 심리상담의 기회를 넓히고 전문상담가의 조력을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변상해 교수, ‘보건-심리상담’ 부문 전문인 선정]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