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대교협]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는 30일 2019학년도 전문대학 입학전형 기본사항을 발표하고 경력단절 여성, 퇴직자․은퇴자, 직업교육을 희망하는 성인학습자 등 제2의 경력창출 및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특별전형을 확대․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협의회는 만학도 및 주부 등을 대상으로 하는 정원내/외 특별전형을 비롯해 비학위과정(특별과정, 시간제 등록생 등)을 활성화해 평생 직업교육시대를 전문대가 이끌어가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선취업 후진학, 일․학습 병행 지원을 통한 향상교육을 지원해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에 기여하는 등 직업교육의 현장성 강화에 전문대학이 견인할 수 있도록 학습근로자 및 재직자 등 계속교육 희망자를 대상으로 하는 특별전형도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직업교육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업 성적이외에 취업역량에 필요한 정성적인 전형방법을 적극 활용하도록 하고 성적 중심의 획일적 선발에서 벗어나, 취업역량에 필요한 소질‧적성‧인성 등 전문대학 특성에 맞는 요소를 중시해 학생의 재능과 열정을 살릴 수 있도록 다양한 전형방법을 지속 활용하도록 할 예정이다.
입학단계에서부터 산업체 인사 참여를 늘려 직업적성을 중시하고, 학생의 소질과 적성을 취업과 연계시켜 선발하는 비교과 입학 전형도 활성화하도록 할 방침이다.
직업 전망과 학과 경쟁력을 기준으로 전문대학을 선택하는 학생들을 선발하기 위해 수시 모집 비중은 더 확대한다.
입학전형방법은 핵심요소 위주로 간소하게 대폭 축소해 시행하고 복잡하거나 활성화 되지 않은 전형은 자체적으로 축소 또는 통합한다.
전문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제고 차원에서 농어촌 학생, 저소득층 학생, 장애인 및 북한이탈주민 등 정원 외 전형뿐 아니라, 정원 내 전형에서도 ‘사회·지역 배려자’를 대상으로 한 ‘고른 기회 입학전형’을 지속 확대하도록 권장할 방침이다.
지역균형발전의 일환으로 지역별로 잠재력 있는 학생을 균형 있게 선발하는 ‘지역인재 전형’은 공정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고, 지역범위는 해당대학 소재 권역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가운데 선발방법 등은 대학이 합리적 기준에 따라 자율적으로 설정하도록 했다.
모집시기별(수시․정시) 운영 취지를 고려해 수시모집 입학전형에서는 수능 점수를 최저학력기준으로 설정․반영하는 방법을 최대한 지양하도록 권고했다.
수능전형을 실시하는 경우 한국사 과목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도록 권고하고 구체적인 적용방법은 학과 특성 및 전형취지에 따라 대학이 자율적으로 설정하도록 하되 실질적인 평가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적절한 반영방법을 찾도록 했다.
2019학년도에도 모든 전문대학이 모집일정을 통일해 운영하면서 시기별 모집횟수는 수시의 경우 2회, 정시는 한차례만 모집을 실시하는 한편 접수일정은 모든 전문대학이 동일하게 실시한다.
2019학년도 전문대학 입학전형 기본사항은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홈페이지(http://www.kcce.or.kr) 및 전문대학 포털 (http://www.mycollege.kr)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고 책자배포 및 설명회 등을 통해 안내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