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게는 3만~4만원, 높게는 10만원을 웃도는 가격 때문에 관람을 엄두도 내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나눔티켓은 소소한 '문화 탈출구' 노릇을 해왔다.
그런 나눔티켓이 언젠가 본연의 '문화 나눔' 기능을 상실해가고 있다는 지적을 받기 시작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곽상도 의원(새누리당)이 한국문화예술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3년부터 2016년 9월까지 나눔티켓 사업으로 기부된 공연 티켓 52만4221장 중 33%(17만2906장)만 사용되고 나머지 35만여 장은 사장된 것으로 드러났다.
가장 큰 문제는 저소득층의 문화향유를 위한다는 나눔티켓이 수도권에서만 집중적으로 사용됐다는 점이다. 곽 의원에 따르면, 2013년부터 지난 9월까지 기부된 공연 티켓 52만여장 중 92.6%(48만5445장)가 서울·경기·인천에 편중됐고, 같은 기간 사용된 공연티켓도 전체 17만2906장 가운데 92.5%(15만9756장)가 이 지역들에 쏠려 있었다. 대구,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는 1% 미만의 사용률을 보였다.
관련 기관에서는 "수도권에 인구가 더 많으니 어쩔 수 없지 않으냐"고 항변할지 모른다. 그렇지만 인구 10만명당 공연시설 수(서울 3.8개, 전남 1.8개, 경북 1.6개, 충남 1.5개 등)와 문화기반시설의 36.4%가 수도권에 몰려있는 상황을 직시한다면 마냥 '나 몰라라' 할 수만은 없는 노릇이다.
문화예술위원회는 뒤늦게 나눔티켓 신규 기부 대상처를 발굴하고, 현재 1인당 2장으로 제한돼 있는 이용 매수 기준을 상향 조정할 계획을 밝혔다.
사업 진행에는 실적 평가가 반드시 뒤따른다. 그렇지만 공공제도인 나눔티켓에 '기부실적'이란 잣대를 들이대며 외형 키우기에만 골몰해서는 곤란하다.
우리 사회엔 문화 문턱을 넘기 힘든, 아니 넘을 생각조차 못하는 132만명의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대상자도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