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권사가 발행한 주가연계증권(ELS) 규모는 9월 4조5600억원에 달했다. 2015년 12월(7조6206억원) 이후 최대치다. 올해 초 홍콩 H지수 폭락에 이어 브렉시트(영국 유럽연합 탈퇴) 여파로 7월 ELS 발행액이 2조5703억원까지 줄었던 것을 감안하면 두 달 만에 2조원 가까이 발행액이 불어났다. 이런 인기는 저금리로 투자자가 마땅한 투자처를 못 찾던 가운데 글로벌 증시가 안정을 되찾은 덕분으로 보인다.
ELS 조기상환 규모도 인기를 증명해준다. 9월 조기상환액은 4조7816억원으로 8월(4조4330억원)에 이어 연중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조기상환액이 많다는 것은 ELS에 투자했던 투자자가 최근 수익을 거뒀다는 의미다.
증권정보업체인 에프앤가이드 자료를 보면 수익률 기준 상위 10개 증권사의 ELS 평균 수익률은 8월 5.67%에서 지난달 4.64%로 소폭 낮아졌지만, 시중은행의 1%대 예적금 금리보다는 여전히 높다.
ELS는 원금 손실(녹인) 기준보다 기초자산 주가가 하락하면 원금을 보장받지 못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는 투자자는 그리 많지 않다. '금융회사에서 판매하는데 문제 없을 것이다'란 막연하고 안일한 생각으로 가입하는 사람이 많다.
ELS와 파생결합증권(DLS)은 구조적으로 만기 전에 빠져나오기 힘든 상품 구조를 가졌다. 중도환매 수수료도 높아 만기시점에 지수가 떨어지거나 하락이 우려돼 중도에 환매를 하면 이래저래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
반면 수수료가 높아 금융회사의 주요 수익원이 되고 있어, 발행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특히 우려스러운 부분은 최근 예금금리보다 높은 수익을 얻고자 하는 50~60대가 ELS, DLS 투자에 뛰어들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동안 안정 지향형 투자자에 해당했던 이들이 고위험 투자상품에 내몰리고 있는 것이다. ELS, DLS 투자는 폭탄돌리기와 같다. 내 차례에서만 안 터지면 되는 것이다.
내가 가입한 ELS의 연계지수가 만기 때 또는 조기상환 조건에 부합해 확정된 5~6% 정도의 이자를 받을 수 있으면 다행이다. 하지만 하필 내 차례에서 지수폭락을 겪게 되면 망하는 것이다.
안타까운 것은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와 최근 중국시장의 조정을 겪으면서 글로벌 지수에 연동되는 ELS와 유가에 연동된 DLS의 손실을 겪은 투자자조차도 대안이 없어 다시 ELS와 DLS를 찾고 있다는 사실이다.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이 발표한 내년 경제성장률도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그렇다면 글로벌시장의 지수도 크게 나아지기 어렵고 중간에 유가급락이나 테러, 미국의 금리인상 등의 변수 등으로 인해 급락 장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투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거나 관리가 어려운 고령의 투자자들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거나 익숙한 투자처 특히, 담보가 있어 원금손실 가능성이 낮은 경매, 수익형임대부동산 등에 관심을 갖는 것이 좋다. 시장의 흐름에 맞는 외환차익거래(FX), 대출채권 등을 통해 8~10%대의 안정적인 수익을 만들어 내는 것이 도움이 되겠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