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10/16/20161016174922667432.jpg)
아주경제 김혜란 기자 = 미르·K 스포츠 재단 논란으로 수세에 몰렸던 여권이 '송민순 회고록' 공방으로 반격을 가하면서 정치권에선 이를 둘러싼 진실 공방이 가열되고 있다.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는 16일 서울 양천구 목동운동장에서 열린 제34회 대통령기 이북도민 체육대회에 참석해 "북한인권결의안에 대해 우리나라 대통령과 대통령 비서실장, 국가정보원장, 관계 부처 장관이 찬성할 것인가, 반대할 것인가를 북한 당국에 묻고 북한이 반대하니 기권했다는 기가 막힌 소식을 접했다"며 "이 진상은 규명을 해내서 이러한 사람들이 다시는 이 정부에서 일할 수 없도록 국민들과 함께 만들어 나가겠다"고 주장했다.
야권의 유력한 대선 주자인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를 겨냥해 "다시는 이 정부에서 일할 수 없도록 하겠다"고 공세를 취한 것이다.
새누리당은 당내 'UN 북한인권결의안 대북결재사건 TF'(가칭)을 설치하는 등 어느 때보다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TF 팀장을 맡은 박맹우 새누리당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진상 규명을 위해 모든 방법을 총 동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현아 대변인도 논평에서 "문 전 대표는 북한 주민의 인권보다 북한 지도부의 심기가 더 중요한 사람"이라며 "문 전 대표가 사드배치를 반대하는 이유도 북한 정권이 반대하기 때문인지 묻고 싶다"고 파상공세를 폈다.
이에 노무현 정부 당시 연설기획비서관이자 현재 당 대권주자인 문 전 대표의 최측근인 김경수 더민주 의원은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결의안에 대한 결정을 북한에 물어보고 결정할 이유도 없고, 물어볼 필요도 없는 일이었다"고 반박하고 나섰다. 김 의원에 따르면 정부는 당시 이미 내부적 논의를 통해 결의안에 기권할 것을 결정했고, 이러한 입장을 북한에 전달했다. 최종결정 이전에 북한 측에 의견을 물었다는 일각의 주장과는 상반된 것이다.
우상호 더민주 원내대표도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당시 비서실장이었던 문 전 대표는 '찬성' 의견을 피력했지만 다수 의견을 따랐다"며 "이러한 사실 관계를 확인하지 않고 정치 공세를 펴서 야권의 유력한 대선 후보 이미지에 흠집내려는 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