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제공=동주대]
아주경제 정하균 기자 = 동주대(총장 김영탁)는 부산시가 추진한 '2016년 대학 학과별 맞춤형 취업지원사업'에 의료기기 제품모델링 현장실무과정이 선발돼 지난 8월 22일부터 11월 25일까지 교육과정을 마치고 수료식을 가졌다고 25일 밝혔다.
'대학 학과별 맞춤형 취업지원사업'은 대학과 기업이 채용을 약정하고 채용을 전제로 기업이 요구하는 맞춤형 교육을 대학에서 시행하는 사업으로 부산지역 대학생들이 희망하는 일자리를 구하기 어렵고, 기업은 원하는 인재를 구하지 못하는 일자리 미스매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2개 대학이 선발돼 진행됐다.
부산시에선 5억 원의 예산을 투입, 사업에 참여하는 대학 등 훈련기관에겐 훈련비(시간당 단가 6500원), 대학생들에겐 월 80% 이상 출석시 훈련수당(100% 출석 20만 원, 90~99% 출석 17만 원, 80~89% 출석 15만 원)를 지급하면서 교육이 진행됐다.
수료식에서 김영탁 총장은 "부산지역의 산업구조를 분석해본 결과 의료기기의 연구개발과정에서 제품모델링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차별화·특화된 현장실무교육을 진행했다"라고 교육과정의 배경을 설명했다.
교육에 앞서 이미 ㈜건우테크 등 15개 업체와 취업협약을 맺고 현장에서 필요한 업무 중심의 교육이 진행됐기 때문에 수료와 함께 취업으로 연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신경애 지도교수(의료정보시스템과)는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 스스로가 직무능력이 향상됐으며, 현장에 대한 두려움도 없어져 자시감을 가지는 모습에 보람을 느꼈다"고 밝혔다.
수료식에선 임예림, 김현지(의료정보시스템과 2학년)학생은 총 250시간의 교육과정을 통해 캐드설계기술관리사(CADTC)와 그래픽관련 GTQ와 정보기술자격(ITQ) 등을 취득하면서 총장상을 수상했으며 교육에 참가한 20명 학생 전원이 관련자격을 1개 이상 취득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앞으로 교육부에서 추구하는 대학의 교육 정책은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집중육성'이란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부산시는 이미 대학과 기업이 채용약정을 맺고 교육을 진행하는 '대학 학과별 맞춤형 취업지원 사업'을 통해 특수 분야의 인력난 해소와 청년실업 및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는 선도적 취업정책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부산시의 청년취업정책에 있어서 동주대는 '부산시 대학생 취업역량강화사업'과 '대학 학과별 맞춤형 취업 지원사업'을 통해 모범적인 취업지원 대학으로 인정받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