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24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17년 1분기 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전분기(86) 대비 18포인트 급락한 68로 집계됐다.
이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도(61~75)와 비슷한 수치다.
대한상의 BSI는 100 이상이면 이번 분기보다 다음 분기에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은 것이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실제 응답기업들은 ‘정치갈등에 따른 사회혼란’(40.0%)과 ‘자금조달 어려움’(39.2%)을 국내 불안요인으로 꼽았다. 대외적 요인으로는 중국의 성장률 둔화(42.4%)와 미국 트럼프 정부의 출범에 따른 전세계 보호무역주의 확산’(32.3%) 등으로 제시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수출과 내수 동반침체로 2010년 18.5% 수준이던 제조업 매출증가율이 지난해 마이너스 3.0% 수준까지 떨어졌다”며 “미국 금리인상, 중국의 성장 브레이크 등이 자금난으로 이어지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전망이 밝지 못하다 보니 기업들은 올해 보수경영을 펼치거나 군살을 뺄 계획인 것으로 파악됐다. 응답업체의 절반 가량(50.6%)은 올해 ‘보수경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이들 업체는 ‘현 상태로 사업을 유지’(65.1%)하거나 ‘기존사업 구조조정’(17.5%)에 나설 계획이라고 했다.
기업들이 보수적인 경영에 나서면서 설비 투자 역시 줄일 것으로 보인다.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국내 기업의 설비투자는 지난해보다 0.9%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실시한 조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조사에 따르면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의 절반은 올해 긴축경영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0인 이상 기업의 60.5%가 긴축경영을 내세웠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취업문은 더욱 좁아질 전망이다. 지난해보다 채용을 늘리겠다는 기업은 27.7%에 불과했다. 기업들의 절반은 ‘지난해와 채용을 비슷하게 유지하거나 줄일 계획’이라고 밝혔고 채용계획을 세우지 못했다는 기업도 전체의 22.7%에 달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취약업종에 대한 구조조정 본격화와 대규모 인력 감축으로 인해 올해 고용여건은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