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지난 2014년부터 추진된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가 드디어 결실을 보았다.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속초에서 잡힌 명태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2015년 고성 앞바다에 방류한 인공 1세대 명태임을 확인, 방류 명태가 자연환경에 정착했다고 23일 밝혔다.
해수부는 과도한 어획 등으로 동해안에서 사라진 명태자원 회복을 위해 지난 2014년부터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를 추진해 왔다.
프로젝트는 자연산 명태의 수정란으로부터 인공 1세대를 얻어 배양 후 2015년 12월 20㎝ 정도로 성장한 어린 명태 1만5000마리를 방류했다. 이후 지난해 동해안에서 채집된 명태 67마리의 DNA 분석 결과, 2마리의 유전정보가 일치했다.
해수부는 지난해 10월 세계 최초로 개발한 명태완전양식 기술을 바탕으로 올해 전문생산시설을 확충해 방류용 명태종자를 대량으로 생산하고 방류 규모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명태 서식환경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를 진행, 어린 명태의 생존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도 함께 강구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명태 유전정보 식별기술을 활용해 동해안에서 잡히는 명태의 유전정보를 확인해 방류한 명태가 성공적으로 자연환경에 적응하고 있는지도 지속·점검한다.
장묘인 해수부 수산자원정책과장은 "방류한 명태가 동해안에 정착해 살고 있다는 사실이 이번 유전자 분석을 통해 명확하게 확인됐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라며 "앞으로 동해안 명태자원 회복을 위한 방류사업을 계속 진행해 하루빨리 국민의 식탁에 우리 바다 명태를 올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영상제공 = 해양수산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