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3/06/20170306113752796860.jpg)
아주경제 김혜란 기자 = 6일 열린 더불어민주당 대선 주자간 인터넷 TV 토론에서 국가 개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을 두고 크게 '대연정'과 '소연정'으로 의견이 갈렸다.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자유한국당까지 포함한 대연정을 해야 국가 개혁을 위한 입법 과제 등을 처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안 지사를 제외한 나머지 대선주자들은 최순실 게이트의 책임이 있는 한국당, 바른정당과는 함께 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문 전 대표는 이날 토론회에서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한국당의 '개혁 발목잡기'가 계속 된다면 이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라는 공통 질문을 받고 '여야정 국정 협의체 상설화'를 대안으로 내놨다. 그는 "적폐청산에 동의하는 지금의 야권 세력과 힘을 모아 나가겠다. 지금의 야권 세력과는 연정도 가능하다"면서도 "생각을 달리하는 정당과도 끊임없이 대화하고 타협하는 정치를 할 것"이라며 대연정과는 선을 그었다.
이재명 성남시장도 대연정론과는 각을 세우고 야권 연합정부 구성을 주장했다. 그는 "민주당 혼자 선거에 이긴다 한들 여소야대 정치력으로는 국민이 원하는 국정 개혁이 불가능하다"면서 "야권 연합정권을, 촛불민심이 참여하는 촛불 대연정을 해야만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지사는 안 지사를 겨냥해 "청산해야 할 적폐세력과 손 잡겠다는 분도 있다. 그들의 발목잡기를 피하려 온몸을 내줄 수는 없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최 시장도 "민주당의 독자집권이 아니라, 박근혜 국정농단 세력과의 야합적인 연정이 아니라, 국민의당과 정의당과 함께하는 개혁적 야 3당의 공동정부 수립이 필요하다. 대통령이 되면 혁신 대통합을 반드시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