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3/27/20170327121135637119.jpg)
[표=한국은행 제공]
27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지역경제보고서'에 따르면 한은 15개 지역본부가 지역 내 업체 및 유관기관을 대상으로 권역별 지역경제 동향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올해 1분기 수도권과 제주권은 경기 개선흐름이 이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강원권은 전분기 대비 경기가 나아지는 모습을 보였고, 충청·호남·대경(대구경북)·동남권(부산울산경남)은 보합 수준에 머물렀다.
한은은 "지역경기는 수도권, 충청권 등에서 수출과 설비투자를 중심으로 완만한 개선세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권역별로 수도권과 충청권, 제주권은 제조업 생산이 증가한 반면 동남권은 자동차, 조선 부진으로 감소했다. 호남권, 대경권, 강원권을 보합세를 보였다.
서비스업 생산의 경우 대경권, 강원권, 제주권은 증가했지만 호남권은 감소했다. 이외에 나머지 권역은 보합세였다.
향후 제조업 생산은 수도권, 대경권 등에서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을 중심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서비스업 생산은 대부분의 권역에서 보합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중국인 관광객 감소로 제주권에서 감소가 예상됐다.
소비는 대경권, 강원권, 제주권을 오름세를 보인데 반해 충청권, 호남권은 내림세를 나타냈다. 수도권과 동남권을 보합세였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석유화학·정체 등의 투자 확대에 힘입어 수도권, 충청권, 동남권 등에서 증가했다. 건설투자는 동남권과 충청권은 주거용 건물 건설을 중심으로 늘었지만 다른 권역을 감소 또는 보합 수준이었다.
수출은 선박과 휴대폰을 제외한 대부분의 주력 산업에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는 정부의 내수활성화 방안 등의 영향으로 다소 증가하겠지만 국내외 경제여건의 높은 불확실성에 따른 소비심리 개선 미흡으로 개선세는 완만할 것으로 보인다.
설비투자는 수도권, 충청권에서 반도체, 디스플레이, 석유화학·정제를 중심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건설투자는 민간부문의 둔화로 대부분의 권역세어 보합 수준에 그칠 것으로 파악됐다.
수출은 IT, 석유화학·정제, 철강 등을 중심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올해 1~2월 중 취업자수는 전년 동기 대비 31만명(월평균) 늘어 작년 4분기(30만명)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과 충청권은 취업자수 증가폭이 축소된 반면 대경권과 강원권을 확대됐다.
올해 1~2월 중 소비자물가는 전년 같은 때보다 2.0%(월평균) 상승하며 작년 4분기(1.5%)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지난 1~2월 주택매매가격은 보합 수준으로 작년 4분기 0.2%(전기 말월 대비)에 비해 상승세가 둔화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