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자율주행 기술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는 요소는 이 두가지였다. 공간을 인지하고, 공간과 공간 사이를 이어주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네이버의 자율주행 기술은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네이버의 연구개발(R&D) 자회사 네이버랩스는 30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17 서울모터쇼' 프레스데이에서 자율주행, 커넥티드 카, 3차원 실내지도 등 생활환경지능 기반 기술을 공개하며 향후 공간과 이동에 대한 기술 방향성과 'IVI 플랫폼'을 공개했다.
이날 송창현 네이버 CTO 겸 네이버랩스 대표는 "네이버랩스는 사용자를 둘러싼 공간과 환경을 깊이 이해하고, 지능적인 이동성이 만들어 낼 수많은 가능성에 주목하며 삶의 가치를 높이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며 컨퍼런스의 문을 열었다.
송창현 대표는 "네이버랩스의 비전 기술과 딥러닝 기술을 바탕으로 자율주행 분야의 R&D 속도를 높이고 있다"며 "특히 기계학습 기반의 기술을 실제 차량 주행에 접목시키는 다양한 실험을 통해, 경제적이고도 정확도가 높은 인지 기술을 개발해 나가는 것이 네이버랩스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네이버랩스가 집중하고 있는 '공간'과 '이동'의 대표적 연구 결과물이 'M1'이라고 소개했다. 이날 네이버랩스는 도로와 구조물로 이뤄진 모형 전시공간을 마련하고, 3차원 실내 정밀지도 제작 로봇인 'M1'이 자율주행으로 해당 공간을 이동하며 3D 정밀지도를 만드는 과정을 시연했다.
M1은 △실시간으로 3D 실내 지도를 만들고 지도 상에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real-time 3D SLAM) △자율주행 △3차원 레이저 스캐너와 360카메라로 3D지도를 만들어내는 기술 등을 활용해 레이저로 스캔한 무수히 많은 점 데이터를 '메시(mesh)'라 불리는 3차원 공간 데이터로 변환, 3차원 지도를 만들어낸다.
M1이 제작한 3D 지도로 대규모 실내공간에서 위치를 파악하고 길 찾기가 가능해지면, 부동산 정보·게임·광고 등 공간 기반 서비스들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불어 이날 네이버랩스는 일반 차량을 '커넥티드 카'로 변신시키는 'IVI 플랫폼'도 공개했다. IVI은 자동차 운전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어렵고 다양한 앱을 넘나들기 힘들며, 라디오나 음악이 있으면 운전이 지루하지 않다는 점과 운전 중에 검색이 혼자서는 힘들다는 4가지 특정 상황을 바탕으로 탄생했다.
IVI는 주의분산이 최소화된 UX, 절제된 음성 인터페이스로 운전 환경에 적합하도록 설계됐으며, 네이버 로그인을 통해 어느 차량에서나 동일한 경험을 제공해준다. 네이버 지도와 연계된 내비게이션을 통해 저장해 놓은 목적지로 바로 길안내를 받고, 날씨·뮤직 등 상황에 맞는 콘텐츠 활용도 가능하다.
송창현 대표는 "사람이 도구를 배우고 익히는 시대는 지났다. 이제는 기술이 생활환경을 이해하는 시대"라면서 "네이버랩스는 차세대 이동 솔루션을 연구하고 AI와 로봇기술의 융합을 통한 생활공간의 정보화를 지속하는 한편, IVI 플랫폼을 오픈해 파트너와의 협력을 넓혀가는 방식으로 기술과 서비스의 선순환을 이루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