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는 이들의 합병 후 '산 공중합체' 시장에서 가격 인상 등 경쟁제한 효과가 우려된다며 관련 자산매각 조치를 부과했다고 9일 밝혔다.
산 공중합체는 접착성이 있는 합성수지의 일종으로 알루미늄 포일 등 각종 포장용 재료의 접착력을 높이는 용도로 사용된다.
다우와 듀폰은 공정위 명령에 따라 결합 당사회사 중 한 회사가 보유한 관련 자산을 기업결합 완료일로부터 6개월 이내 매각해야 한다.
이들은 또 매각이 완료될 때까지 산 공중합체 관련 자산을 분리해 각자 독립적으로 운영해야 하고, 자산매각일로부터 30일 이내 이행 내역을 공정위에 보고해야 한다.
다우와 듀폰은 2015년 12월 11일 새 법인을 만들어 합병하는 내용의 계약을 한 뒤 지난해 5월 공정위에 기업결합을 신고했다.
다우와 듀폰은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지만 두 회사 모두 국내 매출액이 200억원 이상이기 때문에 기업결합을 하려면 한국 공정위에 신고해 심사를 받아야 한다.
공정위는 이들의 합병이 산 공중합체 시장의 경쟁을 제한할 것으로 보고 상품시장을 산 공중합체 시장으로, 지역시장은 세계시장으로 획정한 뒤 경쟁제한 효과를 분석했다.
이들이 합병하면 상위 3개 사업자의 시장점유율 합계가 77.7%로 공정거래법상 경쟁 제한성 추정 요건(75% 이상)에 해당된다.
이때 다우(15.3%)·듀폰(32.5%) 합병회사의 시장점유율은 2위 사업자인 엑손모빌(17.4%) 시장점유율의 2배 이상이 돼 단독 가격인상 등 경쟁제한 행위를 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공정위의 판단이다.
공정위는 또 산 공중합체 시장이 소수기업의 과점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직접적 경쟁사업자인 다우와 듀폰 간 경쟁까지 사라질 경우 경쟁 제한성이 더 높아질 수 있다고 봤다.
아울러 유럽연합(EU)도 지난달 산 공중합체 관련 자산매각 조치를 포함한 포괄적인 이행조건을 내걸고 다우와 듀폰 간 합병을 승인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