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SK이노베이션과 SK온, SK엔무브는 각각 이사회를 열어 양사 합병 안건을 의결했다. SK온이 SK엔무브를 흡수합병하는 형태로 진행되며 오는 11월 1일 합병 법인이 공식 출범한다.
이번 합병은 글로벌 배터리 시장 경쟁이 격화하는 상황에서 SK온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과 생산 설비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는 SK그룹 차원의 판단이 배경에 있다. 회사 측은 이번 합병으로 SK온이 올해 자본 1조7000억원, EBITDA 8000억원 상당의 재무구조 개선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합병 법인은 SK온의 전기차·ESS 배터리 경쟁력과 SK엔무브의 윤활유·액침냉각 기술을 결합해 글로벌 ESS 시장을 공동 공략해나갈 방침이다. 이러한 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SK온은 재무건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오는 2030년 EBITDA를 10조원 이상 창출하고 부채비율을 100% 미만으로 낮춘다는 경영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의식한 듯 SK이노베이션은 이날 대규모 자본확충으로 순차입금을 크게 줄이는 선제적 재무건정성 강화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제3자 유상증자 2조원과 영구채 발행 7000억원, SK온 제3자 유상증자 2조원,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의 유상증자 3000억원 등 5조원의 자본확충을 추진한다. 이어 리밸런싱으로 올 연말까지 3조원의 추가 자본확충에 나설 방침이다.
지주사인 SK㈜는 SK이노베이션 유증과 관련해 4000억원을 직접 출자하고, 유증에 참여하는 금융기관과 주가수익스와프(PRS) 계약을 체결한다.
장용호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은 "지금은 SK온 본연적 경쟁력 강화에 집중할 시기"라며 "합병법인 IPO 계획은 현재는 없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