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지난해까지 4년 연속 풍작과 쌀 수입개방, 지속적인 쌀 소비량 감소로 인한 수급 불균형에 따라 2018년까지 적정 재고 수준인 80만톤의 감축을 목표로 중장기 쌀 수급안정 대책을 추진하고 논에 벼 이외타 작물 재배를 확대 추진하고 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4/14/20170414094530533635.jpg)
논농사 [1]
인천시는 정부정책에 따라 올해 논 타 작물 재배목표를 248㏊로 설정 해 쌀 재배면적을 감소시킬 예정이다.
또한 쌀 적정생산 추진을 위해 논 타 작물 작부체계 보급, 다수확 품종 보급 배제, 질소시비량 감축, 영농기술 지원, 교육 실시하고 쌀의 고품질화를 위해 친환경 쌀 재배 확대, 우량품종 종자 공급, 병해충 방제 대책 추진 등을 통해 쌀 적정생산을 유도해 쌀 수급안정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연이은 풍작과 쌀 소비는 다양한 먹거리 증가 등으로 감소해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발생되고 있어 쌀 적정생산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해마다 반복되는 수확기 쌀값 하락을 슬기롭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쌀 소비촉진 운동 전개와 함께 적정생산 면적 확보, 질소질 비료(7㎏이하/10a) 시비 준수 등 쌀 적정생산 추진에 관내 쌀 생산 농업인이 적극 참여해 줄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