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4/27/20170427170756303958.jpg)
[사진=아주DB]
줄곧 보수진영의 유력 후보를 지지하는 것 외에 선택지를 받아본 적이 없는 TK 유권자들로선 생소한 경험인 셈이다. 이들은 연령을 막론하고 반문(반문재인) 정서를 기반으로 뭉쳤지만 하루 단위로 급변하는 대선 판도를 숨죽이며 지켜보고 있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4/27/20170427170845931421.jpg)
지난 26일 기자가 대구에서 만난 유권자들의 대체적인 공통점이 있다면 반박(반박근혜), 반문(반문재인) 정서를 꼽을 수 있었다. 연령과 성별을 막론하고 대부분의 대구 유권자들은 이에 동조하는 분위기였다.
동대구역에서 만난 직장인 최승호씨(32)는 자신을 대구 토박이라고 밝혔다. 최씨는 박 전 대통령에 대해 “아무리 대구라도 해도 비리를 저질러 탄핵을 당한 박 전 대통령을 좋아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면서 “그렇다고 해서 문재인 민주당 후보를 좋아하는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차기 대선주자에 대해선 “문 후보를 제외하면 안 후보에게 마음이 가는 게 사실”이라서 “홍 후보는 ‘돼지흥분제’ 사건만 봐도 최소한의 품격도 없지 않냐”고 반문했다.
달서구 두류공원에서 만난 김모씨(56)도 “지난 대선에서 박 전 대통령을 뽑았다”며 “촛불집회 때만 해도 정말 억울한 줄 알고 믿었는데 아무 준비 없이 구속까지 되는 걸 보니 이건 아니다 싶었다”고 말했다. 또 “홍 후보는 지지율이 낮아서 고민이 되고, 안 후보는 TV토론을 보니 아직 ‘깜’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일단 계속 지켜볼 생각”이라고 털어놨다.
대구에서 26년 동안 택시기사를 하고 있는 양유순씨(59)는 “손님들 중에 박 전 대통령을 좋아하는 사람은 극소수 노인들 말곤 못 봤다”며 “문 후보는 ‘빨갱이’ 편이라는 이미지 때문에 아무래도 아직 인기가 없다”고 말했다.
대구 유권자들은 반문 정서를 기반으로 ‘당선 가능성’이 있는 후보를 놓고 안 후보와 홍 후보 사이에 저울질을 하고 있었다. 실제로 본격 TV토론이 펼쳐지기 전 TK 표심을 기반으로 안 후보는 30%를 넘는 지지율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실망스러운 모습을 연출하며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한 자릿수에 불과한 지지율에서 최근 두 자릿수로 급부상하고 있는 홍 후보로 표심이 일부분 이동했지만 ‘막말 이미지’로 인해 수도권에서 한계가 있다는 심리가 유권자들을 망설이게 하고 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4/27/20170427170941431496.jpg)
TK 또한 여느 지역과 다르지 않게 세대별 투표 성향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고령층에서는 박 전 대통령에 대해 애잔함을 느끼는 듯한 분위기가 감지됐다. 이 같은 감정이 곧 박 전 대통령을 옹호하는 홍 후보에게 표심으로 이어졌다. 반면, 청년층은 정파를 떠나 탄핵 이후 정권 교체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 대다수였다.
이날 저녁 8시쯤 홍 후보는 대구 지역 유세를 위해 서문시장을 방문했다. 서문시장에서 30년간 국숫집을 운영하고 있는 박순자씨(65)는 “탄핵 사태 이후 이쪽 사람들 대부분이 정치에 관심도 두지 않고 투표도 안 하려고 했지만 지금은 홍 후보 쪽으로 많이 몰리고 있다”며 “정신없이 탄핵이 몰아치던 때는 몰랐지만 지금 보니까 최순실이 다 기획한 걸로 나오지 않느냐”고 말했다. 이어 “홍 후보가 박 전 대통령의 억울함도 조목조목 잘 지적하는 걸 보고 홍 후보를 밀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국수를 먹기 위해 식당에 들른 정모씨(75)는 자신을 홍 후보가 졸업한 영남고 선배라고 소개하면서 “탄핵은 다 최순실이 짠 각본에 대통령이 당한 것”이라며 “그래서 대통령을 배신한 유승민보다 홍 후보를 찍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홍 후보가 지지율이 좀 낮아서 걱정됐는데 들어보니까 ‘요즘 여론조사는 여론조작’이라는 말을 들었다”며 “문 후보의 당선을 막기 위해선 당연히 홍 후보에게 투표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경북대 근처에서 만난 대학생 류재호씨(27)는 “집안 어른들은 아무래도 문 후보를 싫어하는 경향이 있다”며 “집안 분위기 때문에 처음엔 안 후보에게 마음이 갔는데 지금은 문 후보에게 투표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본이 안 된 홍 후보는 아예 고려 대상에도 없었고, 안 후보는 TV토론을 보고 나서 실망했다”며 “문 후보가 기득권 개혁을 잘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대체로 노령층은 ‘당선 가능성’을 놓고 전략투표에 대한 고심이 깊은 반면, 새 정치를 지향하는 안 후보에게 기대를 걸었던 청년층은 TV토론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처럼 보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