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연합뉴스) 심인성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다시 하락하며 취임 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미국 퀴니피액대학이 10일(현지시간) 공개한 새 여론조사(5월4∼9일·1천78명)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운영 방식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36%에 그쳤다.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58%였다.
이 같은 국정 지지도는 지난달 19일 발표된 조사 때의 40%보다 4%포인트 떨어진 것이다. 다만 취임 후 최저치를 기록했던 지난달 4일 발표 조사 당시의 35%에 비해서는 1%포인트 높다.
정당별로 보면 공화당은 82%가 지지한 반면 민주당은 7%만 지지해 극명한 대조를 보였다.
또 성별로는 여성(31%)보다는 남성(41%), 인종별로는 비(非)백인(21%)보다는 백인(42%)의 지지가 각각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호감도 역시 같은 기간 39%에서 35%로 4%포인트 떨어졌다. 비호감도는 56%에서 58%로 2%포인트 높아졌다.
이번 여론조사를 진행한 퀴니피액대학 팀 말로이 부국장은 "우리가 이런 수치를 조작하거나 좋게 꾸밀 어떤 방법도 없다"면서 "이번에 나온 (국정지지도) 수치는 트럼프 정부가 그냥 털어버릴 수 없는 그런 적신호들"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는 역대 대통령들과 비교해 최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여론조사 기관 갤럽은 앞서 지난달 20일을 기준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후 국정 지지도가 평균 41%를 기록해 1953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역대 대통령의 취임 초기 국정 지지도는 평균 61%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이처럼 낮게 나오는 것은 '반(反)이민행정' 발동, '오바마케어' 폐지, '동맹 때리기' 등 그의 각종 분열적 정책에 대한 부정적 여론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역대 최저지지율'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쓴 트럼프 대통령은 주요 여론조사 결과를 '가짜'라고 주장하며 낮은 국정 지지도에 개의치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sims@yna.co.kr
(끝)
[연합뉴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