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은 20일 '출퇴근 재해 산재보험 전면도입에 대한 경영계 입장'을 통해 "출퇴근 재해에 대한 근로자 보호의 필요성은 경영계도 공감하는 바"라며 "그러나 자동차 사고로 발생하는 산재보험과 자동차보험간 구상권 문제 해결을 위한 준비에 상당한 시일이 필요함에도 자동차에 의한 출퇴근 재해까지 전면시행 하는 것은 성급한 입법조치라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어 "양 보험간 구상권 조정문제 해결을 위한 관련 준비가 미비한 상황에서 전면시행은 향후 구상과 관련한 많은 행정력낭비와 불필요한 다툼을 야기하고 산재보험에 많은 재정적 부담을 지울 소지가 크다"고 설명했다.
또한 경총은 근로자 중과실에 대한 재해까지 일정한 급여제한 없이 보상하는 것이 과도하다는 주장이다.
그러면서 경총은 “출퇴근 재해는 대부분 사업장 밖에서 일어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무분별한 산재신청 및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한 철저한 재해조사 및 관리운영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데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환경노동위원회를 통과한 것에 대해 경영계는 우려를 금할 수 없다”며 “이에 경영계는 향후 국회 환노위 전체회의 등 추후 입법논의시 자동차보험과의 관계 조정, 근로자 중과실에 대한 적절한 급여지급 제한, 부정수급방지를 위한 대책 등이 마련되어지기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법안심사소위는 자가용이나 대중교통 등 통상적인 경로와 방법으로 출퇴근하다 발생한 사고도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개정안을 19일 통과시켰다. 개정안이 본회의를 통과하면 내년 1월부터 전면 시행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