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포커스] 저축은행 사태 6년, 변화가 필요하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임재천 금융부 부장
입력 2017-08-03 19: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임재천 금융부장[임재천 금융부장]

부실 금융기관으로 '낙인' 찍혔던 저축은행들이 과거의 오명에서 벗어나 비상하고 있다. 79개 저축은행의 올 1분기 당기순익은 249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9억원(13.6%) 증가했다. 대출금이 증가하면서 늘어난 이자이익이 순이익을 끌어올렸다. 2014년 4717억원이었던 당기순익은 2015년 6404억원으로 상승했고, 지난해에는 8605억원까지 뛰었다.

실적과 함께 인지도도 좋아지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업인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최근 전국의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저금리 시대의 재테크 및 대출과 관련한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10명 중 7명(66.3%)이 은행에 돈을 맡기겠다고 답했다. 목돈이 생길 경우 어떻게 재테크 할지를 묻는 질문에는 시중은행 저축(27.8%)이 가장 많았고,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에 예치하겠다는 의견도 20.4%나 됐다. 특히 20대의 경우 저축은행에 목돈을 맡기겠다는 의견이 26.8%나 됐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저축은행에 대한 인식이 서서히 바뀌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변화를 위해 저축은행들은 그동안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중금리 대출과 햇살론을 적극 취급하면서 고객 곁으로 다가섰고 서민금융에 올인하다시피 했다. 실제로 사잇돌대출은 9개월 만에 3만 2134건(2899억원)을 공급했고 이는 앞으로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이 하지 못하는 자체 중금리 상품도 확대했다.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SBI저축은행의 '사이다'가 대표적이다. 출시 1년 6개월 만에 4000억원을 돌파했고, 이는 시중은행을 포함한 전체 금융사 가운데 최대다. 자체 중금리 상품의 평균 금리도 10% 중반대로 책정했다. 1금융권 신용대출 심사를 통과하지 못한 4~7등급 서민들이 주로 이용하고 있다. 새 정부가 주문하고 있는 서민금융을 한 발 앞서 시행한 셈이다.

사실 저축은행들은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 지난 6년 간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해왔다. 부실 사태가 일어나기 직전인 2010년 105개였던 저축은행은 79개로 줄었고 수신과 여신 잔액도 반 토막 났다. 2014년 7월에는 예금보험공사가 29개 부실저축은행의 구조조정을 끝냈고, 일부 저축은행들은 최근 흑자를 내는 등 점차 안정화하고 있다.

문제는 저축은행에 대한 규제가 여전히 과거의 틀에 맞춰져 있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것이 예금보험료(예보료)다. 0.35%였던 저축은행 예보료는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 0.4%로 올랐다. 은행(0.08%), 보험(0.15%)에 비하면 매우 높은 수치다. 저축은행에 들어간 공적자금을 회수하기 위한 조치다. 하지만 당시 부실 사태와 관련이 없었던 대부분 저축은행으로서는 억울한 부담인 셈이다. 대출 총량규제 강화, 최고금리 인하 방침, 가계부채 총량 규제 등 저축은행을 옥죄는 규제들도 여전히 산적해 있다.

이처럼 해묵은 규제에 발목 잡힌 저축은행들은 새로운 시도는 고사하고 신 시장을 개척하는 것조차 버거워하고 있다. 핀테크를 비롯한 신사업은 생각조차 못하고 있다. 감독당국의 강력한 파워에 밀려 '불만'조차 토로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언제까지 '주홍글씨'를 달고 살아야 하는지 모르겠다는 한 저축은행 CEO의 하소연이 요즘 들어 더욱 크게 들린다. 고객의 리스크를 줄이고, 2금융권도 상생할 수 있는 감독당국의 스마트한 대처가 필요한 시점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