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 남편을 대신해 생계를 꾸려야 했던 주부, 학비와 생활비를 마련하느라 불법 사금융에 빠진 대학생 등 안타까운 사연을 가진 분들이 대부분이었다.
사연을 들어보면 아쉬운 부분이 많았다. 약간의 금융 지식과 정보를 가지고 있었다면 지금의 상황까지 이르지 않았을 사례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15년이 지난 현재도 상황은 크게 개선돼 보이지 않는다. 자신의 상환 능력을 고려해 대출 규모를 정하고 법적, 제도적 테두리 안에서 보호받을 수 있는 금융 정보를 잘 알고 있는 금융 소비자는 그렇게 많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사회적 취약 계층의 경우 그 비율이 더 크다.
안타깝게도 생계를 위한 대출이 많고, 제도권 밖의 자금에 의존하는 과다 채무 위험이 큰 저소득층일수록 금융 정보에 소외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의 경우 낮은 금융 지식 탓에 금융사기의 표적이 될 가능성까지 높다.
안타깝게도 생계를 위한 대출이 많고, 제도권 밖의 자금에 의존하는 과다 채무 위험이 큰 저소득층일수록 금융 정보에 소외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의 경우 낮은 금융 지식 탓에 금융사기의 표적이 될 가능성까지 높다.
취약계층의 금융 정보 부족은 우리 사회에서 금융교육의 기회가 아직은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요 선진국들은 금융 교육의 필요성을 깨닫고 체계적으로 금융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미국은 OECD 평균보다 낮은 자국민들의 금융 이해력을 높이기 위해 3년 주기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금융 지식 수준을 측정하고 교육기관과 직장 등 다양한 비영리 및 공공기관에서 금융 교육을 실시한다. 일본은 정부와 금융사가 연계하여 금융 교육을 실시 중이고 최근에는 비영리 단체들도 함께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금융 교육의 중요성을 뒤늦게 깨닫고 2015년부터 본격적인 금융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1년 6개월 만에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46.5%가 금융 기관과 결연을 맺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하지만 금융 교육은 단순한 금융 관련 지식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금융 교육은 개인의 행복한 삶뿐만 아니라 국가의 경제적 건강까지도 뒷받침해 준다"는 버냉키 전 미국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의 말처럼 교육을 통해 금융 시장의 생리를 이해하는 것은 금융 사고 예방은 물론 합리적인 금융 습관을 형성해 개인을 넘어 사회와 국가의 부를 증진시킬 수 있다.
금융 교육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현장의 목소리다. 금융 현장에서 소비자들의 고민을 가장 잘 알고 있는 현장 전문가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서민금융에 특화된 저축은행은 풀뿌리 금융 교육의 적임자라고 할 수 있다. 저축은행은 정부지원 금융상품인 햇살론, 사잇돌2대출 등 서민을 위한 금융상품을 취급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개인신용등급 중 42%를 차지하는 4~6등급 고객들을 위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저축은행은 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경제적, 사회적 지원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의무가 있다. 시중은행에서 환영 받지 못하는 고객이라고 해도 금융 소비자로서의 권리를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금융 교육도 저축은행이 역량이 발휘해야 할 분야 중 하나다. 서민과 취약계층의 권리를 보호하고 나아가 건전한 금융 생활을 통한 자립을 도울 수 있기 때문이다.
준법경영과 자산건전성 관리를 통해 신뢰 회복은 물론 지역 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으로 풀뿌리 금융 교육에 힘을 보태는 등 작은 변화의 바람을 만드는 것이야 말로 서민금융기관을 자임하는 저축은행의 중요한 역할이다. 이러한 역할과 소임을 다 했을 때 저축은행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도 회복될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