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9/11/20170911152135741030.jpg)
이에 따라 한반도 전술핵 재배치를 둘러싼 논란은 국내 정치권을 넘어 한ㆍ미 양국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한반도 전술핵 재배치란 쉽게 말해 주한미군이 사용할 무기로 핵무기를 한국에 들여오는 것이다. 즉 전술핵 재배치가 된다 하더라도 한국은 전술핵 사용 등에 대해 아무런 권한이 없고 미국이 모든 권한을 가진다.
지난 1954년 11월 18일 발효된 한미상호방위조약은 “미국은 그들의 육ㆍ해ㆍ공군을 한국의 영토 내와 그 부근에 배치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며 한국은 이를 허락한다”며 주한미군 주둔이 미국의 권리임을 명시하고 있다.
정의당 노회찬 원내대표는 11일 국회에서 있은 상무위원회에서 “1991년 한국에서 미국의 전술핵 무기가 철수한 것은 한반도 비핵화라는 목표를 향한 중대한 첫 걸음이었습니다. 비록 지금 북한의 핵실험으로 인해 한반도 비핵화는 뒤로 후퇴했지만, 이에 대한 대응으로 전술핵을 재배치하는 것은 한반도 비핵화를 완전히 무덤에 묻어버리는 일이 될 것입니다”라며 “전술핵 재배치는 북한의 핵개발을 반대할 명분을 스스로 없애는 것입니다. 또한 한국에 불과 1~2시간 만에 도착할 수 있는 미국의 ‘핵우산’ 전력이 대거 배치돼 있는데 굳이 한반도에 전술핵을 배치하자는 주장은 다분히 감정적이며, 중국 러시아 등 주변국을 더욱 긴장시키는 어리석은 행동에 불과합니다. 지금의 사드와는 비교할 수 없는 반발과 보복을 초래할 것입니다”라며 전술핵 재배치 주장을 비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