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상임위원회 김병욱 의원(민주당)은 2017년 교육부 앱 현황 조사결과 2016년 국정감사 지적에도 불구하고 교육부 및 산하기관의 스마트폰 앱 예산낭비가 지속되고 있다며 공공기관 앱 낭비를 방지할 국가적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교육부 및 산하기관이 2017년 9월까지 운영하고 있는 스마트폰 앱은 총 35개로 제작비용으로 44억1800만원을 지출했고 앱당 1억2600만원의 평균 제작비용이 소요된 것으로 밝혀졌다.
2017년 안드로이드 폰 기준으로 35개 앱의 현재 설치수는 42만3797개로 2016년 45만5835개보다 오히려 7%나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 및 산하기관들은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총 7억6000만원의 제작비용이 소요된 15개 스마트폰 앱은 폐기한 것으로 밝혀졌다.
김 의원실은 교육부와 산하기관들이 국가 예산으로 스마트폰 앱을 제작하고 별다른 홍보나 업데이트 없이 방치하다보니 앱 설치율이 급감하고 있는 가운데 앱을 폐기하고 다시 만드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병욱 의원은 “2016년 국정감사에서 교육부의 스마트폰 앱 예산낭비를 지적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부의 스마트폰 앱 예산낭비가 계속되고 있다”며 “교육부 정보화 담당부서에서 자신들이 무슨 앱을 만들고 관리하고 있는지 애정을 가지고 실태 파악을 하고 주기적으로 앱 활용도 평가를 기관장에게 보고할 필요가 있으며 공공기관 앱 낭비를 방지할 국가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10/10/20171010085307390750.jpg)
[김병욱 의원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