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10/17/20171017142651242304.jpg)
공판용 플라스틱 컨테이너 상자에 담긴 생감 [사진=상주시 제공]
시는 6200여 농가에서 약 3만4000여t의 감을 생산하고 있으며, 1만t의 곶감을 생산해 3천억원의 수익을 올리는 등 전국 곶감생산량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11일부터 상주농협, 상주원예농협, 남문청과, 상주곶감유통터는 생감 공판 및 수매를 시작했고, 생감 공판과 수매를 통해 생감 총생산량의 35%정도가 이곳에서 유통된다.
매년 짧은기간 많은 물량이 출하돼 공판장 주변일대에는 교통이 마비될 정도로 생감을 실은 차들이 줄지어서 공판장내로 입고가 될 때까지 밤을 지새우는 일이 반복돼 왔다.
그 결과 매년 공판장 주변 교통 혼잡과 오랜 대기시간에 따른 시간 및 인력 낭비해소와 공판가격도 상자(20kg)당 2000~3000원 더 받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곶감의 품질향상에도 한 몫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