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11/14/20171114143845431429.jpg)
[사진=AP/연합]
유엔은 13일(현지시간) 내년 2월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에 전세계가 일체의 적대 행위를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휴전결의안'을 채택했다고 AP 등 외신이 보도했다.
이날 뉴욕에서 열린 제72차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결의안의 공식 명칭은 ‘올림픽 이상과 스포츠를 통한 평화롭고 더 나은 세계 건설’이다.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은 193개 유엔 회원국들에게 이번 결의안 채택으로 "모든 선수들이 평화롭게 경기를 할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졌다"고 강조했다.
결의안은 내년 2월 9~25일 열리는 평창 겨울올림픽과 3월9~18일 예정된 겨울패럴림픽 기간에 개막 7일 전부터 폐막 7일 뒤까지 세계의 분쟁을 일시 중단하자는 내용으로, 참가국들의 이견이 없어 표결 없는 컨센서스(만장일치) 방식으로 채택되었다.
올림픽 휴전결의는 올림픽 기간 일체의 적대 행위를 중단한 고대 그리스 전통을 이어받아 올림픽 주최국 주도하에 1993년 이후 하계·동계올림픽이 열리는 시기에 2년마다 유엔 총회에서 채택하는 것이 관례이나, 이번의 경우 북핵 위협으로 군사적 긴장이 팽팽한 한반도가 무대라는 점에서 상징적인 의미가 크다.
이번 휴전결의안에는 한반도 군사적 충돌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감안해, “(올림픽에 참석하는) 선수와 관계자 등 모든 관련 인사들의 안전한 통행과 참여, 접근을 보장”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또 "평창 동계올림픽이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 개발, 관용과 이해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의미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표명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14일 외교부 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통해 "금번 결의에 평창 동계올림픽이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 증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은 평창 동계올림픽을 평화의 올림픽으로 만들기 위한 우리 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금번 결의 채택은 지난 9월 대통령의 유엔 총회 기조연설과 평창 홍보행사 등을 계기로 확산되고 있는 평창 동계 올림픽에 대한 국제사회 내 관심과 열기를 더욱 고조시킬 것으로 기대되며, 정부는 앞으로도 평창 동계 올림픽이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휴전결의는 우리 정부 주도로 초안을 작성했으며, 유엔 회원국 간 문안 협상 과정을 거쳐 마련되었고 미국, 중국, 러시아를 포함한 150여 개국이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