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신용카드학회는 30일 은행회관 2층 국제회의실에서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카드산업의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주제로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명식 한국신용카드학회장(상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은 개회사에서 “지급결제 시장은 4차 산업혁명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는 분야”라며 “꾸준한 학술대회를 통해 신용카드업계가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이기송 연구위원(KB금융지주)은 ‘AI를 활용한 혁신적 서비스 개발과 규제개선 방안’을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이어 함유근 교수(건국대학교)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카드비즈니스의 혁신방안’을 주제로, 다양한 빅데이터 활용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기존 산업은 수요 예측이 잘 안돼 자산 활용률이 떨어지고,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로 개인 데이터에 의존하는 사례가 많았다”며 “하지만 신용카드의 데이터는 소비자의 구매패턴 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타 업계와의 제휴를 통해 데이터를 판매하는 등 파급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블록체인 기반 지급결제플랫폼 구축과 카드사의 혁신방안’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정유신 교수(서강대학교)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혁신을 통해 지급결제 인프라의 고도화 및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을 해나간다면, 지급결제 비즈니스에서 카드사의 주도권을 유지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해외 카드사처럼 블록체인 기술에 선제적 투자를 통해 유수한 사례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