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박근혜 정부' 당시 국가정보원에서 특수활동비(특활비)를 상납 받았다는 것과 대기업을 압박해 친정부 성향 보수단체의 관제데모를 도왔다는 '화이트리스트' 의혹을 각각 받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양석조 부장검사)는 10일 오전 9시30분 화이트리스트 및 국정원 자금수수 사건 등의 피의자 신분으로 조 전 수석의 출석을 요구했다.
이날 예정된 시간보다 35분 먼저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한 조 전 수석은 "검찰 수사에 성실히 응하겠다"라고 말했다. 조 전 수석은 지난 1월 박영수 특별검사팀에 의해 소환이 이뤄진지 11개월 만에, 불구속 상태가 된지 넉달만에 다시 피의자가 됐다.
이와 함께 조 전 수석은 정무수석으로 있으면서 전국경제인연합회를 압박해 보수단체에 자금을 지원토록 하고, 친정부 성향 집회 개최 등에 조직적으로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이른바 ‘화이트리스트’ 사건이다.
지난 정부 국정원 예산과 인사를 총괄해 온 이헌수 전 기획조정실장도 앞선 조사에서 2013년부터 청와대에 특활비를 건넸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지난달 허현준 전 청와대 행정관을 구속기소하면서 공소장에 조 전 수석을 공범으로 적시했다.
이와 별개로 조 전 수석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때 문화·예술계 지원배제 명단인 블랙리스트에 관여한 혐의로 기소돼 현재 재판이 진행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