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12/19/20171219083226107757.jpg)
[사진=아주경제 DB]
CJ제일제당이 CJ대한통운 지분 20.1%를 추가 확보해 단독 자회사 구조로 전환하고, CJ대한통운은 CJ건설을 합병한다. 이번 사업 개편으로 CJ제일제당은 CJ대한통운, CJ건설의 핵심역량을 결합해 글로벌 시너지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CJ제일제당은 19일 “KX홀딩스가 보유하고 있는 CJ대한통운 지분 20.1%를 추가 확보하기로 결정했다”면서 “CJ대한통운, CJ건설과의 유기적 선순환 체계를 구축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이번 추가 지분 확보로 CJ제일제당은 글로벌 신규 진출 시 CJ대한통운의 글로벌 네트워크 거점을 적극 활용할 수 있다. 각 거점별로 차별화된 물류시스템 구축과 물류비 절감, 안정적인 공장 신·증설이 가능하다.
CJ대한통운은 CJ제일제당의 글로벌 생산거점에서 자재 등 원재료 조달, 플랜트 설비 운송, 제품 생산 이후의 유통·판매 등 전·후방 물류를 담당함으로써 사업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다.
또한 CJ건설은 CJ제일제당과 CJ대한통운의 거점 지역에서 부동산 매입과 설계 시공, 인허가 업무를 맡아 인프라 설계와 시공시장에 신규 진입을 할 수 있다.
실제로 CJ제일제당은 냉동식품공장을 신설 중인 중국에서 CJ대한통운이 인수한 ‘룽칭물류’의 냉장물류망을 활용, 중국 대도시 신선식품시장 공략이 용이해졌다. 식품통합생산 클러스터를 구축 중인 베트남에서는 CJ대한통운이 인수한 베트남 최대 민간 종합물류기업 ‘제마뎁’의 전문 물류역량을 결합해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 CJ제일제당이 올해 6월 인수한 브라질 농축대두단백(SPC) 제조회사 ‘셀렉타’는 CJ대한통운의 물류 역량을 활용해 물류비 절감을 통한 원가경쟁력을 확보했다. CJ대한통운은 셀렉타에 공급하는 물류 물량을 기반으로 중남미 곡물 물류 시장에 진입할 수 있게 됐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3개사의 시너지를 극대화함으로써 차별화된 식문화를 세계화해 글로벌 생활문화기업으로 퀀텀 점프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지분 확보로 개정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손·자회사 보유 지분율 기준 상향 등 공정거래법 개정 이슈도 자연스럽게 해소될 전망이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공정거래법 개정안은 의무 보유 지분율을 20%에서 30%로 상향하고 손·자회사의 공동지배를 불허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CJ가 2011년 대한통운을 인수할 때 지분 40.2%를 CJ제일제당과 KX홀딩스(옛 CJ GLS)가 각각 20.1%씩 인수했다. CJ대한통운은 CJ그룹에 인수된 이후 연평균 매출 20%, 영업이익 12% 각각 성장해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