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원전 해체비용 1호기당 7515억원…2015년 대비 16.7% 인상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노승길 기자
입력 2017-12-27 11:1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방폐물 관리비 200L 드럼당 1373만원으로 2015년 대비 12.6% 증가

  • 원전 환경비용 인상으로 경제성 낮아져

원자력발전사업자가 부담해야 하는 환경비용이 인상됨에 따라 원전의 경제성이 낮아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17년 방사성폐기물 관리비용산정위원회를 개최하고 중·저준위 방폐물 관리비용과 원전해체 비용 충당금을 재산정해 고시했다고 27일 밝혔다. 방폐물 관리비용은 방사성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산업부 장관이 2년마다 검토해 고시하도록 규정돼 있다.

중·저준위 방폐물 관리비용은 2015년 고시한 200L 드럼당 1219만원에서 1373만원으로 12.6% 인상했다. 원자력안전법 시행령 개정으로 방폐물 처분시설 폐쇄 후 관리기간이 100년에서 300년으로 늘어난 점과 공용설비 건설비 증가 등이 반영됐다.

방폐물을 다루는 대학, 병원, 기업 등이 부담하는 방사성동위원소 방폐물 관리비용은 2015년 고시한 200L 드럼당 375만~2743만원에서 431만~2983만원으로 늘었다.

원전 해체 비용 충당금 역시 2015년 고시한 1호기당 6437억원에서 7515억원으로 16.7% 인상했다. 인상률은 2015년 고시 당시의 6.7%(2013년 대비)보다 높다.

해체 후 부지 복원을 기존 15cm에서 1m로 더 깊은 곳까지 하게 하면서 제염·철거비가 올라갔고 기존에 포함되지 않았던 초동소방대 인건비와 방폐물 운반비 상승 등이 반영됐다.

사용후핵연료 관리 부담금은 탈원전 정책으로 발생량이 약 23% 감소할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연내 사업비 산정이 어려워져 2018년도에 다시 산정하기로 했다.

현재 다발당 소요비용은 경수로형 3억1981만4000원, 중수로형 1320만2000원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방폐물 관리사업이 초장 기간에 걸쳐 수행되는 만큼 관리비용의 적정성에 대해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검토를 통해 방폐물 관리에 필요한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