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12/27/20171227135545196196.jpg)
LG전자와 히어가 공동 개발하는 '차세대 커넥티드카 솔루션'이 적용된 가상의 자율주행차가 주행 중에 전방의 도로폐쇄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 대체경로로 우회전 하기 위해 분기점이 있는 오른쪽 차선으로 미리 차선을 변경한 모습. 일반 지도에서는 알 수 없는 차선별 주행정보를 식별할 수 있어야 이러한 대처가 가능하다. 계기판을 통해 고정밀 지도 정보가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실시간 업데이트 되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사진=LG전자 제공]
LG전자가 ‘미래먹거리’ 사업으로 떠오른 자율주행차 핵심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내외 유력 업체들과 공동 기술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국제 관련 인증도 잇따라 획득하는 등 자율주행차 사업 범위를 확대하는 모습이다.
LG전자는 27일 "글로벌 고정밀 지도 대표기업인 독일의 히어 테크놀로지스(HERE Technologies)와 '차세대 커넥티드카 솔루션 공동개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히어는 전 세계 1억대 이상의 차량에 탑재된 내비게이션에 지도를 공급하고 있는 고정밀 지도 정보 분야 글로벌 강자다.
자율주행 필수 기술인 각종 센서 데이터를 수집해 클라우드로 분석, 이를 지도에 반영하는 기술도 뛰어나다. 2015년 경쟁관계인 BMW, 아우디, 다임러 독일 완성차 3사가 이례적으로 연합해 히어를 인수했을 정도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올 1월에는 자율주행 분야에 뛰어든 인텔이 히어의 새로운 투자자로 참여하기도 했다.
이번에 개발되는 차세대 커넥티드카 솔루션은 카메라, 레이더(Radar), 라이다(Lidar) 등 차량의 ADAS(주행보조시스템) 센서와 V2X(차량과 모든 개체 간 통신)를 통해 수집된 주변 차량 및 환경 정보들을 클라우드 서버와 주고 받으며 고도로 정밀한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 솔루션은 일반 지도로는 알 수 없는 차선별 교통량, 주변 차량의 주행정보 등을 기반으로 분기점 정체가 시작되는 정확한 위치를 실시간으로 알려준다. 덕분에 직진하려는 자율주행차는 교통량이 많은 분기 차선을 피해 미리 차선을 변경할 수 있고, 분기점에서 빠지려는 차량이 정체구간 도중에 위험한 끼어들기를 할 필요도 없어진다. 더불어 차선간의 거리, 인도와의 거리도 정밀하게 인식해 안전하게 차선을 변경할 수 있다.
이우종 LG전자 VC사업본부장 사장은 “첨단 지도 기술을 보유한 히어와 협력해 자율주행차 통신 솔루션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할 것”이라며 “LG전자는 완성차 고객들이 자율주행 시대에 대응할 수 있도록 차세대 커넥티드카 부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이문철 히어 아시아태평양 비즈니스 총괄 부사장은 “자율주행차는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주행을 위해 강력한 통신기능과 검증된 데이터들이 필요하다”며 “히어의 클라우드 기반 고정밀 지도 관련 기술로 차세대 커넥티드카 솔루션을 성공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LG전자와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LG전자는 지난 10월 이동통신 반도체 분야 글로벌 대표기업인 미국 퀄컴과 차세대 커넥티드 카 및 자율주행차 관련 기술개발을 위한 공동연구소를 설립했으며, 이달 들어서는 국내 최초로 LTE 이동통신 기반의 V2X 단말과 이를 활용한 자율주행 안전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또 최근에는 글로벌 인증기관인 독일 'TUV 라인란드'로부터 자율주행차 부품과 차량 미디어 부품사업에 대한 기능안전 인증을 받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