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경기북부청제공]
김진흥 경기도 행정2부지사는 19일 오후 고양 일산1동 주민센터를 찾아 ‘일자리 안정자금’ 운영에 대한 현장점검에 나섰다.
‘일자리 안정자금’은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소상공인 및 영세중소기업의 경영부담을 완화하고 노동자의 고용불안을 해소하는데 목적을 둔 사업이다.
도는 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집행을 위해 올해 1월부터 ‘일자리 안정자금 현장책임관 제도’를 운영 중이다. 행정1·2부지사 총괄 하에 각 시군별로 도의 국장급 공무원 1명을 책임관으로, 과장급 공무원 1명을 보좌관으로 배정해 지원하는 방식이다.
이번 점검은 일자리 안정자금의 안정적 시행이 경기지역경제와 고용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임을 감안, ‘현장책임관 제도’의 총괄 지휘관 격인 행정2부지사가 최 일선 현장으로 진두지휘를 나선 셈이다.
이날 김진흥 부지사는 고양시의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단 구성과 운영 등을 살피고, 집행체계와 준비상황, 사업홍보 실적 등을 점검했다.
아울러 현장 업무 담당자들의 애로·건의 사항을 수렴해 도 차원에서 지원할 부분이 무엇이 있는지 모색하는 시간도 가졌다.
특히 김 부지사는 최근 최저인금 인상에 따른 부작용 우려가 이슈화가 된 만큼 고양시 소재 대방트리플라온비즈니스타워를 방문, 실제 고용축소·임금인상·근로시간 조정 여부 등을 직접 확인하고, 고용주·근로자들과의 대화를 통해 개선 및 보완 방향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
이와 관련해 같은 날 19일 화성 지역에서는, 이재율 행정1부지사가 현장행보에 나섰다.
이재율 부지사 역시 김 부지사와 마찬가지로 화성 화산동 주민센터와 인근 소상공인 영세업체를 찾아 일자리 안정자금 운영에 대한 점검활동을 벌이고 도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약속했다.
향후 도는 일자리 안정자금 사업정착 시까지 ‘현장책임관’ 제도를 운영해 전 방위적인 지원 활동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김진흥 부지사는 “일자리 안정자금의 성패는 중앙과 경기도, 시군 간 긴밀한 연계와 협조에 달려있다”며 “향후 일자리 안정자금의 원활한 시행이 지역경제에 미칠 영향이 상당한 만큼, 도 차원에서도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펼쳐 나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