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스테이프로 그린 남북미 정상' 청와대×아티스트 콜라보展 “어서 와, 봄” 개막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주진 기자
입력 2018-12-21 14:0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내년 1월 말까지 청와대 사랑채에서 열려…2030 작가들이 한반도 평화로 얻은 영감을 작품으로 표현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21일 오전 청와대 사랑채에서 개막한 '청와대x아티스트 콜라보전 어서와 봄' 개막식에서 참여 작가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청와대와 젊은 작가들의 컬래버레이션 전시 <어서 와, 봄>이 21일 개막했다.

내년 1월 31일까지 청와대 사랑채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회에는 테이프아트부터 그래피티, 미디어아트, 식물세밀화, 펜드로잉, 한국화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개성 있는 작품세계를 선보여온 작가들의 그림 46점, 벽화 2점, 미디어아트 1점이 선보였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한반도 평화 진전이 가져온 변화된 일상과 상상력의 공간을 미래세대가 젊은 감각으로 풀어낸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

이번 전시를 준비한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한국의 젊은 작가들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예술적 영감을 받고, ‘평화’에 새로운 상상력을 입혀 우리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주고 있다”면서 “세계가 한반도를 주목하고 있는 이 때, 청와대와 협업한 젊은 작가들이 한반도의 새로운 일상을 모티브로 해외 아티스트들과도 더 많은 협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청와대 김의겸 대변인이 21일 오전 청와대 사랑채에서 개막한 '청와대x아티스트 콜라보전 어서와 봄'을 찾아 조윤진 작가가 박스테이프를 이용해 제작한 '올해의 인물'을 감상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박스테이프를 잘라 붙여 인물화를 만드는 테이프 아티스트 조윤진(32세, 여) 씨는 ‘올해의 인물’을 주제로 한반도에 영향을 미친 인물, 세계를 놀라게 한 인물을 그렸다. 1000원짜리 테이프로 만들어낸 남북미 정상의 대형 초상화가 전시장에 나란히 내걸렸다. ‘21세기 비틀즈’로 평가받으며 새로운 팬덤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는 방탄소년단(BTS) 멤버들의 얼굴도 강렬한 색상의 테이프 그림으로 만날 수 있다.

미국 LA 아트 디스트릭트에 그린 한복 입은 여성 벽화로 세계의 이목을 끈 그래피티 아티스트 심찬양(29세) 씨는 ‘환대(歡待)’를 주제로 벽화 2점을 선보였다. 판문점 군사분계선에서 남북 정상이 처음 만나는 장면을 그린 가로 6미터, 세로 5.4미터의 그래피티 작품 <안녕>은 상대를 반기는 인사이자 한반도의 평화와 안녕(安寧)을 기원하는 중의적 제목이다. 6세, 9세, 18세의 다문화 소녀들을 그린 작품 <어깨동무>는 다양성과 포용성을 상징하는 미래세대를 등장시켜 연대(連帶)의 메시지를 던진다.

박근호(32), 박근호(34), 박영계(33), 이영호(34), 이수빈(32) 씨 등 30대 청년들로 구성된 미디어아티스트 그룹 사일로랩(SILO Lab)은 한반도 화해를 주제로 관객 참여 작품 <묘화(描和)>를 선보였다.

‘화해를 그리다’는 뜻의 <묘화(描和)>는 폐목재와 백열등 104개로 만들었다. 쓰임을 다 하고 버려지는 것들에 대한 슬픔과 연민을 담은 동명의 작품 <묘화(妙火)>에 인터랙션 기능을 더해 희망적 메시지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조형물 앞에서 관객 두 명이 손을 맞잡으면 빛이 더욱 밝아지고 희망찬 음악이 흘러나온다.
 

[사진=청와대]




반려동물을 주인공으로 채색화 작업을 해온 한국화가 곽수연(41, 여) 씨는 ‘반려(伴侶) : 짝이 되는 동무’를 주제로 남북 출신 퍼스트펫이 등장하는 민화 팝아트를 공개했다. 십장생도(十長生圖)에 곰이와 송강이를 그려 넣어, 한반도의 평화 번영을 기원하는 마음을 담았다. 학식과 명예를 상징하는 물건이 놓인 책가도 앞에 토리와 찡찡이를 등장시켜, 유기견·유기묘에서 퍼스트펫이 된 두 반려동물의 특별한 사연을 그림으로 표현했다.

세계 여러 도시의 풍경을 그려온 일러스트레이터 설동주(32) 씨는 ‘그날의 풍경’을 주제로 남북 정상회담 당일의 모습과 변화된 일상 풍경을 캔버스에 담아냈다. 방북 행렬을 환송하는 시민부터, 능라도 5.1경기장에서 평양시민에게 인사하는 문 대통령, 정상회담 효과로 북새통을 이루는 서울 시내 평양냉면 음식점까지, 작가의 눈에 포착된 남북 정상회담 그날의 모습은 평화롭고도 특별한 풍경이다.

식물을 그림으로 기록하는 실물세밀화가이자 식물연구자 이소영(34, 여) 씨는 ‘한반도 식물도감’을 주제로 전세계에서 한국·북한·한반도에서만 자생하는 특산식물, 기후 변화로 사라질 위기에 놓인 한반도의 침엽수를 채색화와 펜화로 전시했다.
 

[사진=청와대]



남북에서 서로 다른 식물 이름도 비교해볼 수 있다. 이번 전시에 선보이는 <검산초롱꽃>은 우리나라에 생체가 전혀 없어 표본과 사진을 보고 그렸다. 이소영 작가는 “남북 산림 협력 진전으로 북한에 자생하는 개체를 직접 볼 수 있게 된다면, 갱신된 연구 결과를 반영해 그림을 업그레이드하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다.

전시 기간 동안 작가들의 현장 이벤트도 열린다. 오는 22일(토)에는 설동주의 펜드로잉, 29일(토)에는 조윤진의 라이브 테이핑을 전시장에서 직접 볼 수 있다. 이소영 작가는 23일(일) 오전 11시와 오후 2시 두 차례, 관람객을 대상으로 직접 식물세밀화 도슨트 투어를 진행한다. 

작품 제작 모습과 작가 인터뷰를 담은 티저영상은 2030 영상제작자 차일웅(29세), 박준원(30세) PD가 연출했다. 남북 평화와 관련된 사진을 매개로 영상 속 화면이 다른 장소로 전환되는 CG 기법을 적용, 평화가 남북을 이어주고 젊은 예술가들의 상상력을 이어준다는 의미를 담았다.

이번 전시는 사전 신청이나 입장권 구매 없이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실내 전시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람 가능(입장은 5시 30분까지)하며, 1월 1일과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

청와대 사랑채는 국내외 관광객과 서울시민이 찾는 청와대 앞 관광명소로, 올 연말까지 방문객은 지난해 연간 방문객수보다 10만 명 증가해 70만 명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