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시장 침체기에 '역(逆)전세난' 우려까지 겹쳤다. 2년 전 정점을 찍었던 전셋값을 받아줄 새 수요자가 없어서다. 전세금을 마련해야 하는 집주인은 유주택자 대출까지 막혀 주택 처분에 나서고 있다.
10일 KB부동산 주간주택시장 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2017년 7월 둘째 주부터 2018년 1월 첫째 주까지 100.8을 기록했다. 이는 2008년 4월 집계를 시작한 이래 최고 수치로, 당시 세입자들이 근 10년 중 가장 비싸게 전세 계약을 체결했다는 의미다.
하지만 지난해 1월을 기점으로 전셋값은 계속 떨어지고 있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이 13주 연속 하락하는 가운데 특히 지난달에는 하락세가 가팔라졌다.
지난달 셋째 주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보다 0.08% 하락했고, 넷째 주에는 0.07% 더 내렸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이 급격히 하락한 것은 2009년 2월 첫째 주(-0.10%) 이후 약 10년 만에 처음이다. 전세가격지수로 따지면 지난달 마지막 주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99.8에 그친다.
이 같은 추세라면 2017년 7월 비싼 값에 전세 계약한 세입자의 만기가 도래하는 올해 여름부터 집주인과 세입자의 갑을관계가 바뀌는 역전세난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방송희 주택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비싼 전세보증금을 주고 들어갔다가 2년 뒤에 전셋값이 내려가면 집주인이 새로 전세금을 받아서 나가는 세입자에게 돌려주지 못한다"며 "여기에 집값까지 내려가면 '깡통전세'가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역전세난이 장기화하면 연쇄적으로 부동산시장 침체의 요인이 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새 세입자를 구하지 못해 전세금을 빼주지 못하는 집주인은 신용대출이나 주택담보대출을 찾을 수밖에 없고, 이마저 여의치 않으면 매도에 나설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부동산시장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급매가 차츰 등장하면 집값은 당연히 하락하게 된다.
또 신규 입주 물량도 상당하다. 올해 아파트 준공 물량은 39만2000가구로, 지난해(44만3000가구)에 이어 과잉공급이 예상된다.
국토연구원은 입주물량 과잉이 전셋값은 물론 주택 매매가격의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강원, 전북, 전남, 경북, 강남 등 지방의 매매가격 하락을 점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