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강남권 및 마용성 주요 아파트 2019년 보유세 시뮬레이션 비교 표. [자료제공=세무사법무사 박재완사무소]
실제로 17일 국토교통부의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 사이트에 따르면 강남 재건축 단지인 '개포주공 1단지' 전용면적 42.55㎡ 공시가격은 지난해 7억5300만원에서 올해 9억7600만원으로 종합부동산세 기준인 9억원을 넘어섰다. 상승률은 29.61%에 달한다.
보유세 상승폭은 더욱 컸다. 세무사법무사 박재완사무소의 세무 시뮬레이션 분석에 따르면 1가구 1주택 기준으로 이 단지는 작년 256만원의 보유세만 납부하면 됐지만, 올해는 384만원을 내야 한다. 무려 50% 급등한 셈이다.
또 서초구 반포동 '반포자이' 전용 59.98㎡는 작년 9억2000만원에서 올해 11억6800만원이 되며 26.97% 급등했다. 보유세는 작년 268만원에서 올해 402만원으로 역시 50%나 뛴다.
준 강남권으로 꼽히는 마용성 일대의 경우 공시가격 상승률이 30%대를 넘는 단지도 나왔다. 용산구 산천동 '리버힐 삼성' 전용 84.98㎡의 경우 올해 4억8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무려 30.43%나 상승했다. 이 단지는 보유세도 99만원에서 137만원으로 38% 뛴다.
시세가 12억원을 넘지 않는 서울 중고가 단지 중에서도 공시가가 20% 상승률을 넘긴 단지를 그리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고가 단지 중 공시가가 많이 오르지 않은 단지도 있었다. 용산구 한남동 '한남더힐'은 전용 235.31㎡가 지난해 29억9200만원에서 올해 30억원으로 0.27% 올랐다. 보유세는 작년 2669만원에서 올해 2860만원으로 상승률이 7.2%에 그쳤다.
전국 가격 구간별(시세 기준) 평균 변동률은 △3억원 이하 -2.45% △3억원 초과~6억원 이하 5.64% △6억원 초과~9억원 이하 15.13% △9억원 초과~12억원 이하 17.61% △12억원 초과~15억원 이하 18.15% △15억원 초과~30억원 이하 15.57% △30억원 초과 13.32%로 집계됐다.
한 부동산 교수는 "정부는 작년 '9·13 부동산 대책' 이후 시세 하락분이 반영됐다 밝혔지만, 이를 체감하기 어려운 단지들도 상당수"라며 "당연히 집주인들의 반발이 예상되며, 이의신청도 작년보다 훨씬 많아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