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는 앞서 2018년 두 차례에 걸쳐 청두(중국), 뭄바이(인도), 바르샤바(폴란드), 워싱턴(미국), 키토(에콰도르) 무역관장을 외부인사로 채용했으며, 이번 개방에 따라 1년 만에 총 10개소 개방을 목전에 두고 있다.
해외무역관장 대외개방은 작년 4월 권평오 사장이 취임 일성으로 제시하고 1달 뒤인 5월 ‘KOTRA 다운 KOTRA를 위한 혁신로드맵’에서 구체화한 4대 경영혁신 방향 중 하나인 ‘역량과 실적 중심의 인사관리’의 핵심과제다
이번 공모를 통해 우리의 가장 큰 수출시장인 중국에는 기존 청두에 이어 정저우와 충칭에도 전문가를 영입해 내륙의 숨은 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또한 사우디 비전 2030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경제협력 관계가 더욱 긴밀해지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리야드)와 캄보디아(프놈펜)에도 외부 인사를 수혈해 경제협력을 통한 우리기업 해외시장 진출지원에 필요한 전문성을 강화할 방침이다.
서류 접수는 4월 8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되며, 자세한 사항은 KOTRA 홈페이지의 채용공고를 참조하면 된다. △ 정저우는 물류․유통․소비재 △ 충칭은 자동차부품 등 소재부품과 소비재 △ 아테네는 조선 및 기자재 △ 리야드는 플랜트, 기자재 및 신산업 프로젝트 △ 프놈펜은 캄보디아 및 인근 동남아지역 전문성 등 해당지역 여건에 걸맞은 역량과 경험을 겸비한 인사의 채용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면접 등 소정의 절차를 거쳐 5월말에 최종 결정되고, 2달간 교육이후 8월 1일부로 현지에 배치될 예정이다.
권평오 KOTRA 사장은 “혁신은 역량과 실적 중심의 인사로부터 시작된다”며 “풍부한 현장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글로벌 인재를 영입해 국민이 체감하는 서비스 혁신을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한편, KOTRA는 10월에도 3개소를 개방하는 등 올해 안에 총 13곳 개방을 마쳐 2021년까지 22개 해외무역관장을 개방하겠다는 최종목표의 달성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4/07/20190407150327350107.jpg)
[사진=코트라 제공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