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4/08/20190408153436691965.jpg)
8일 정부가 5G 핵심 서비스로 디지털헬스케어를 선정한 가운데 원격협진 등 획기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사진=아이클릭아트]
정부가 5G 핵심 서비스 가운데 하나로 디지털헬스케어를 포함시키면서 오는 2026년 110조원(정부 추산) 규모로 예상되는 글로벌 시장 공략에 파란불이 켜졌다.
8일 정부와 디지털 헬스케어 업계에 따르면 앞으로 시범 사업을 거쳐 관련 서비스가 정착되면 시공간 제약 없는 디지털 헬스케어 제공 및 의료서비스의 질 개선이 기대된다.
이날 장부는 자료를 통해 5G 활용을 통해 “응급의료 등 실시간 대응이 필수적인 서비스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로 의료서비스의 질을 개선된다”고 강조했다.
일례로 모바일을 통해 건강상태(혈당·혈압·운동량 등)의 능동적 상시관리 지원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구급현장에서 획기적인 변화도 기대된다. 정부는 응급현장‧구급차‧병원을 연결해 중증외상‧심근경색 등의 신속한 처치를 지원하는 ‘5G 기반 응급의료시스템’ 개발해 적용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 시스템을 올해 시작해 오는 2021년까지 마무리 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 소방청 등 3개 관계부처가 손을 맞잡고 개발에 나섰다.
정부는 2021년 개발이 완료되면 전국적인 보급에 앞서 2~3곳의 실증 지역을 선정해 지역 119 및 병원에서 적용 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어 2025년까지 전체 구급차(7000여대), 응급의료기관(400여개)의 20%까지 보급 및 확산 추진한다.
또 다른 획기적인 변화는 5G 기반 실시간 원격협진 도입이다. 정부는 이날 거점 대형병원 및 협력 병·의원을 대상으로 현장의 수요에 맞는 ‘5G 기반 실시간 원격협진 시범사업’을 내년부터 추진한다고 밝혔다.
자세히 살며보면 △여러 분야의 전문의가 협진하는 다학제 진료에 적용 △응급환자 대상 모바일 기반·실시간 병원 내 전문의와 협진 △거점병원과 병·의원 협진에 5G 기반 원격협진 적용 등이다.
원격협진 시스템의 경우 표준화 안정화를 거 오는 2023년 종합병원 이상 의료기관의 50%까지 확대 적용 추진한다는 것이 정부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과거 4G 통신망을 통한 로봇 수술은 의료진과 현장의 전송시간 격차로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제 5G로 동시에 이뤄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며 “의료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이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원격협진을 반대하는 의료계 설득은 아직 풀어야 할 과제다. 익명을 요구한 의료계 관계자는 “원격진료로 의료사고가 발생하면 의사와 현장사이에서 책임이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며 “또 의료진의 모니터링과 진료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 같은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없는 한 원격 협진을 허울만 좋은 발상”이라고 강조했다.
8일 정부와 디지털 헬스케어 업계에 따르면 앞으로 시범 사업을 거쳐 관련 서비스가 정착되면 시공간 제약 없는 디지털 헬스케어 제공 및 의료서비스의 질 개선이 기대된다.
이날 장부는 자료를 통해 5G 활용을 통해 “응급의료 등 실시간 대응이 필수적인 서비스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로 의료서비스의 질을 개선된다”고 강조했다.
일례로 모바일을 통해 건강상태(혈당·혈압·운동량 등)의 능동적 상시관리 지원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 소방청 등 3개 관계부처가 손을 맞잡고 개발에 나섰다.
정부는 2021년 개발이 완료되면 전국적인 보급에 앞서 2~3곳의 실증 지역을 선정해 지역 119 및 병원에서 적용 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어 2025년까지 전체 구급차(7000여대), 응급의료기관(400여개)의 20%까지 보급 및 확산 추진한다.
또 다른 획기적인 변화는 5G 기반 실시간 원격협진 도입이다. 정부는 이날 거점 대형병원 및 협력 병·의원을 대상으로 현장의 수요에 맞는 ‘5G 기반 실시간 원격협진 시범사업’을 내년부터 추진한다고 밝혔다.
자세히 살며보면 △여러 분야의 전문의가 협진하는 다학제 진료에 적용 △응급환자 대상 모바일 기반·실시간 병원 내 전문의와 협진 △거점병원과 병·의원 협진에 5G 기반 원격협진 적용 등이다.
원격협진 시스템의 경우 표준화 안정화를 거 오는 2023년 종합병원 이상 의료기관의 50%까지 확대 적용 추진한다는 것이 정부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과거 4G 통신망을 통한 로봇 수술은 의료진과 현장의 전송시간 격차로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제 5G로 동시에 이뤄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며 “의료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이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원격협진을 반대하는 의료계 설득은 아직 풀어야 할 과제다. 익명을 요구한 의료계 관계자는 “원격진료로 의료사고가 발생하면 의사와 현장사이에서 책임이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며 “또 의료진의 모니터링과 진료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 같은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없는 한 원격 협진을 허울만 좋은 발상”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