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현지시간) 공개된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따르면 참가자 대다수는 올해 경제 성장률이 이전 예상치보다 조금 더 낮을 것으로 보고 올해 안에 기준금리를 조정하지 않는 게 적절하다는 입장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고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은 전했다.
연준 위원들은 올해 1분기(1~3월) 소비자 지출 및 기업 투자가 둔화될 것이라면서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3%대였던 2018년 수준을 밑돌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연준은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전망치보다 0.2% 포인트 낮춘 2.1%로 조정했다. 물가상승률 전망치도 기존 1.9%에서 1.8%로 내려잡았다.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와 미중 무역협상 등의 요소가 올해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과도한 미국의 기업 부채가 미국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연준은 지난달 19~20일 진행한 FOMC 정례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현행 2.25~2.50%에서 동결하기로 했다. 또 연내 추가 인상은 없다고 강조했다.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횟수는 내년에도 한 차례에 그친 뒤 2021년은 다시 동결할 것으로 보인다는 관측도 나왔다.
경기 자신감을 바탕으로 2018년에는 기준금리를 네 차례 인상한 데다 올해도 두 차례 추가 금리인상이 가능할 것으로 시사했던 지난해 12월과는 완전히 달라진 모습이다.
다만 경제 상황에 따라 금리 인상 또는 인하 등의 조정이 가능할 것이라는 여지를 남겼다고 CNBC는 전했다. 경제 여건이 좋아지면 연말 이전에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되 연중 내내 개선 가능성이 있는 대부분의 경제 데이터를 지켜보고 판단하겠다는 것이다.
CNBC는 "지난 FOMC에서는 만장일치로 금리동결을 결정한 뒤 연내 추가적인 금리 인상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면 이번 회의록에서는 경제 상황을 전제로 금리 인상 또는 인하 등의 여지가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한편 연준은 대표적인 긴축 카드로 꼽히는 보유자산 축소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5월부터 채권 축소 규모를 줄인 뒤 9월에 모두 종료한다는 계획을 승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유자산 축소 계획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일정을 확실하게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자산 축소 작업을 시작했던 2017년만 해도 당초 종료 목표 시기는 2021~2022년이었다. 정확한 종료 시점이 제시되면서 연준은 통화정책 정상화를 내건 지 2년 만에 사실상 긴축 카드를 모두 접게 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