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벤져스는 마블 스튜디오가 제작하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시리즈 중에 하나다. 마블 스튜디오는 캡틴 아메리카, 아이언맨, 헐크, 토르 등 여러 영웅의 스토리를 각각 영화로 제작하기도 하고, 이들을 하나의 팀으로 모아 어벤져스라는 영화를 제작하기도 한다. 특히 어벤져스 시리즈는 각각의 개성을 가진 영웅들을 한 영화에서 볼 수 있어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작품 중에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개별 영화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큰 스토리 안에서 흘러간다. 독립적이면서도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이번 ‘어벤져스: 엔드게임’을 온전히 이해하려면 이전에 개봉한 마블 영화를 봐야 한다. 그러나 마블 시리즈는 워낙 다양하다. 영화 아이언맨과 토르만 하더라도 3편까지 제작됐고, 캡틴 아메리카 또한 △퍼스트 어벤져 △윈터솔져 △시빌워 등 다양한 작품이 존재한다. 다른 영웅의 영화도 한 편 또는 두 편 정도는 개봉한 것을 고려하면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영화는 수십개다.
어떤 영화부터 봐야 할지 막막하다면 인공지능(AI)이 추천해주는 대로 영화를 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네이버 '어벤져스 엔드게임' 검색 화면[사진=네이버]

네이버 에이아이템즈 협업 필터링[사진=네이버]
이는 어벤져스 엔드게임과 연관성이 있으면서도 이용자의 행동 기반까지 더해 연관성이 높은 영화를 보여주는 서비스다. 이 서비스에는 ‘협업 필터링’ 기술이 활용됐다. 많은 사용자가 함께 보거나 같이 좋아하는 콘텐츠를 추출해 추천하는 방식이라는 게 네이버의 설명이다. 예를 들어 아이언맨과 스파이더맨을 함께 본 사용자가 많을 경우, AI가 이 둘을 연관 영화로 판단하는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아이언맨의 감독이나 주연 배우 등을 검색했다면 이같은 정보까지 종합적으로 분석해 영화를 추천한다.
네이버 측은 “기존 영화 추천과 달리 나와 다른 사용자들이 영화 정보를 어떻게 찾아보는지 알 수 있고, 최신 데이터 분석에 기반을 둬 함께 볼만한 영화를 추천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CGV와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등 대형 영화관은 이날부터 ‘어벤져스: 엔드게임’의 예매를 시작한다.

영화 '어벤져스 : 엔드게임' 포스터[사진=네이버영화]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