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는 올해 중소기업제품 공공구매 목표와 지난해 구매 실적 등이 포함된 ‘2019년도 중소기업제품 공공구매 목표(안)’이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됐다고 24일 밝혔다. 올해 중소기업 구매 목표치는 물품 32조6264억원, 공사 42조1708억원, 용역 18조9952억원으로 설정했다.
공공구매는 중소기업제품 구매 촉진을 위해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등 공공기관이 물품‧공사‧용역 등을 발주할 때 중소기업제품을 의무적으로 구매하도록 규정한 제도다. 공공구매 실적은 2017년 이미 90조원을 넘었고, 중소기업은 이를 통해 판로 개척과 경영안정 효과를 보고 있다.

[자료=중기부]
2018년도 공공구매 실적은 94조원을 기록해 사상 최고치를 달성했다. 공공기관 총 구매액 중 중소기업 제품은 76.2%를 달성해 목표 대비 2.5%P 높아졌다.
기술개발제품과 여성기업제품, 장애인기업제품에 대한 구매실적도 법정 의무 비율을 달성했다. 지난해 기술개발제품 구매실적은 4조5200억원으로 중소기업 물품 구매의 13.7%를 기록했다. 여성기업제품은 9조9100억원으로 총 구매의 8.0%, 장애인기업제품은 1조5400억원으로 총 구매의 1.2% 비율을 보였다.
중기부는 향후 미국 공공조달 분야에서 시행되고 있는 멘토 프로그램과 구매지원관 제도를 국내에 도입하는 한편, 구매 활성화가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기술개발제품 공공구매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기술개발제품 의무 구매 목표 비율을 현핸 10%에서 15%로 상향 조정하고, 기술개발제품의 시범구매제도를 활성화해 기술개발제품의 구매실적을 공공기관 평가에 반영하는 제도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희정 판로정책과 과장은 “공공기관의 상생 노력과 중기부의 적극적인 제도 운영으로 중소기업제품 구매액이 사상 최고치를 달성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공공조달 분야 신규 정책 도입 및 제도 개선 등을 통해 상생과 협력의 분위기를 확산하고 중소기업이 혁신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