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유니세프가 발간한 '가족친화정책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연구 대상 국가 중 한국의 제도상 남성 유급 출산·육아휴직 기간은 일본(30주)의 뒤를 이어 17주로 2위를 차지했다. 반면 전체 육아휴직자 중 남성 휴직 비율은 17%에 불과해 실제 이용률이 매우 낮았다.
유니세프는 "한국 남성의 유급 출산·육아 휴직 실제 이용률이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유니세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과 유럽연합(EU) 소속 국가 등 41개국을 대상으로 유급 출산·육아 휴직 기간, 만 0~5세 영유아 보육·유아 교육 서비스 이용률을 기준으로 가족친화정책을 평가했다.
유니세프한국위원회는 지난 2014년 여성정책연구원 조사를 인용, 남성 근로자가 육아휴직 사용에 부담을 느끼는 가장 큰 이유는 '육아휴직으로 인한 소득감소'(41.9%)였다고 설명했다.
김지혜 유니세프한국위원회 박사는 "한국은 여성이 받는 임금이 남성보다 37% 적다"며 "남성이 출산·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가계 소득 감소가 크다는 점이 남성의 육아 휴직 참여를 저조하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