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7/09/20190709084022721070.jpg)
부산시 청사 전경. [사진=박동욱 기자]
부산형 오케이 일자리 사업은 부산시와 16개 구·군이 기존 일자리사업 발굴의 패러다임을 보완해 주민 주도로 발굴하는 상향식 일자리사업이다.
시는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공모를 통해 54건의 사업을 심사해 최종 29개를 선정했다. 사업예산은 총 20억 원으로 사업 당 최대 9000만원을 지원한다. 선정된 사업은 △지역특화형 △△사회서비스형 △플랫폼구축형 △융합․혁신형 등 크게 4개의 형태로 추진된다. 참여인원은 총 1000여명이다.
먼저, ‘지역특화형 사업’은 북튜버 크리에이터를 통한 도시재생과 지역 주민 일자리를 창출하는 ‘보수동 책방골목 북튜버 인력양성사업’, 감천문화마을을 주제로 한 ‘국악으로 만드는 여행길’, 도농복합지역의 특성을 살린 ‘평강상리마을 밥상머리 공동체사업’ 등 11개 프로젝트다.
둘째, ‘사회서비스형 사업’은 지역 어린이집 대체조리사를 지원하는 ‘더 건강한 아이키움 사업’, 지역주민이 지역사회 돌봄 기능을 수행하는 ‘일상의 OK를 디자인하는 커뮤니티 케어사업’ 등 11개 사안이다.
셋째, ‘플랫폼구축형 사업’은 고려제강과 지역 사회적경제기업인 오랜지바다가 협업해 추진하는 ‘수공예기술자 공장건립 사업’, 초량 이바구길 거점시설을 활성화하는 ‘<다가온나> 프로젝트’ 등 5개 사업이다.
마지막으로 ‘융합혁신형 사업’은 지역사회 통합 돌봄 체계 마련을 위한 ‘주민참여형 사회적경제조직 일자리 창출 사업’, 사회적경제기업 융합홍보사업인 ‘우리마을 신상’ 사업이다.
이와 별도로, 부산시는 올해 처음 실시하는 사업인 만큼 일자리 실행에 필요한 '종합적인 지원체계'도 구축한다. 이를 위해 민관 전문가로 구성된, ‘민관일자리기획단’을 통해 정기적으로 컨설팅을 하고, 사업의 실행, 현장관리, 평가 및 의견수렴을 진행한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지금까지는 주민과 지역기업이 지역 일자리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채널이 부족했다”면서 “부산형 오케이 일자리사업을 통해 지역의 현실을 가장 잘 아는 주민과 지역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었으며, 기존 중앙 일자리사업 지침에 맞지 않아 추진하지 못했던 지역밀착형 일자리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